매년 기발한 아이디어와 신기술로 ‘CES 혁신상’을 휩쓸어온 한국 스타트업들이 정작 국내에선 꿈을 펼쳐보지 못한 채 해외로 떠도는 사연은 더 이상 놀랍지도 않다. 정권마다 규제 혁파를 신물나게 외쳤는데도 스타트업 혁신의 씨를 말리는 척박한 환경이 그대로라는 게 더 당혹스럽다. 자율주행차 ‘스누버’를 제작한 국내 최고의 자율주행 스타트업(토르드라이버)이 규제를 피해 미국행을 택해 충격을 준 게 2017년의 일이지만, 달라진 건 없다. 뛰어난 의료진과 정보기술(IT) 기반을 갖추고도 원격의료가 불법인 한국에선 유망 신산업인 디지털 헬스케어가 무용지물인 게 대표적이다.
각 분야의 혁신 서비스도 질식당하고 있다. 우버·타다 등을 외면해 벌어진 택시 대란을 보고도 기득권의 편에 선 정치권은 로톡(법률서비스 중개) 택스테크(세무회계) 등 혁신 플랫폼의 날개를 번번이 꺾었다. 아산나눔재단은 글로벌 100대 유니콘 기업이 한국에 있었다면 절반 이상인 55개가 온전히 사업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석열 정부가 전기차, 드론·로봇, 바이오헬스 등 각 분야의 신산업 규제를 풀기로 했지만, 문제는 속도다. 융합과 초연결이 특징인 4차 산업혁명 시대엔 한발 앞서 신기술을 확보해 사업화에 성공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정부와 정치권이 기술 진화와 신산업 출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 말짱 도루묵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문가 50명에게 정부의 규제혁신 정책을 물은 설문조사에서도 ‘체감하기 어렵다’(45.5%), ‘속도가 더디다’(27.3%)는 평가가 많았다. ‘규제 혁명’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으면 혁신 기술과 창의적 기업가정신이 숨 쉴 틈이 없어지고 ‘기술 혁명’도 불가능하다. 홍 대표가 “벤처기업에는 시간이 돈”이라고 하소연한 이유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