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가 최근 4년간 디저트 전문점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매출 및 신규가맹점 비중을 분석한 결과 한국 전통 간식 업체의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고 분석했다.
21일 KB국민카드에 따르면 디저트 전문점의 매출액은 2019년 대비 2020년 8%, 2021년 28%, 2022년 47% 증가하면서 최근 4년 동안 꾸준한 매출 성장을 보였다. 관련 가맹점 수 또한 2019년 말 대비 2022년 말 48% 증가하면서 신규 진출도 지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점 수 1000개 이상을 보유한 디저트 업종 중 최근 4년간(2019년 대비 2022년)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디저트 전문점은 △떡·한과(66%, 이하 순증) △와플·파이(65%) △아이스크림·요거트(36%) △도너츠(29%) △케이크(7%) 순이었다.
디저트 전문점 내 떡·한과 매출액 비중도 2019년 22.7%에서 2022년 25.7%로 3%포인트 증가해 최근 다양한 디저트 업종이 생겨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간식의 입지를 굳건히 했다.
반면,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아이스크림(요거트 포함) 전문점의 매출과 가맹점 수는 증가 추세이나 매출액 비중은 2019년 33.9%에서 2022년 31.5%로 소폭 감소했다.
전통적 디저트인 떡·한과의 경우 퓨전 떡집의 등장, 동네와 가게마다 다른 ‘손맛’과 개성으로 뉴트로와 ‘개취(개인취향)’ 트렌드에 맞춰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말 떡·한과 가맹점 수는 1만 3000개 이상으로 디저트 업종 중 가맹점 수 비중이 44%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아이스크림 가맹점이 약 6000여 개 수준으로 20% 비중을 차지했다. 떡·한과 가맹점의 최근 1년 동안(2021년말 대비 2022년) 가맹점 수는 2%, 최근 4년간(2019년말 대비 2022년말) 가맹점 수는 15% 증가하며, 지속 성장 추세다.
지난해 디저트 전체의 연령대별 매출액 비중은 △20대 25.0% △30대 20.5% △40대 22.7% △50대 18.0% △60대 이상 13.8%로 2040 세대가 약 70%였다.
세부 업종 내 연령대별 매출을 보면 떡·한과의 경우에는 20대 7.7%, 50대와 60대 이상 비중이 60.3% (각각 27.6%, 32.7%)로 여전히 장년층 이상이 선호하는 품목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9년 대비 2022년 떡/한과 업종 내 연령대별 매출 비중 변화를 보면 20대의 떡/한과 매출액 비중은 2.2%포인트(2019년 5.5% → 2022년 7.7%) 증가해 타 연령대비 가장 많이 비중이 확대됐다.
연령대별로 선호하는 디저트 세부업종을 보면, 지난해 기준 20대~40대는 아이스크림(요거트 포함) 매출액 비중이 30%대 이상으로 높고, 50대~60대는 떡·한과의 매출액 비중이 39.5%, 61.2%로 타 업종 대비 높았다. 특히 2019년 대비 22년 연령대별 매출액 비중 증감을 보면, 떡·한과와 베이글은 전 연령대에서 매출 비중이 커졌다.
건당 이용금액이 가장 높은 디저트는 과일·허브티 2만200원, 떡·한과 1만5500원 순이며, 가장 낮은 간식은 츄러스 6500원, 아이스크림·요거트 7600원이고, 붕어빵은 건당 이용금액 9500원으로 카드로 결제하는 모습을 보여 눈에 띄었다. 가맹점 수 1000개 이하를 포함한 전체 디저트 전문점의 최근 4년간(2019년 대비 2022년) 매출액 증감을 보면 △베이글(216%, 이하 순증) △떡·한과(66%) △와플·파이(65%) △쿠키(55%) △호두과자(52%) △츄러스(49%) △아이스크림·요거트(36%) △도너츠(29%) △과일·허브티(25%) △빙수(12%) △붕어빵(12%) △케이크(7%) 순으로 나타났다.
2019년 대비 2022년 3배(216% 순증) 이상 매출이 증가한 베이글은 2021년 대비 2022년에도 2배 가량(86%) 증가해 디저트 업종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최근 인기를 데이터로 입증했다.
KB국민카드 데이터전략그룹 관계자는“디저트 종류별 소비 트렌드 분석을 통해 떡과 한과의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재발견할 수 있었으며, 창업 아이템으로 급부상 하고 있는 디저트 전문점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세부 업종과 품목 분석을 통해 먹거리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를 소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