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고 금리 인상 압력이 줄어든 건 아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달 5.2% 올라 3개월 만에 상승폭을 확대했다. 전기와 도시가스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별로 버스·지하철·택시 등 공공요금과 식료품값 인상도 줄줄이 예고됐다. 미국과의 금리 격차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시장 예상대로 미국 중앙은행(Fed)이 오는 3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만 밟아도 격차는 1.75%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진다. 그만큼 외국인 자금 유출과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을 받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국내 물가 불안과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으로 국내 금리 인상 압박이 크다며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연말에는 연 4%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처럼 경제 침체 속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위기’에선 구조 개혁과 서비스산업 혁신을 통해 경제 체질을 개선하는 게 근본 처방이다. 노동·교육·연금 등 3대 개혁이 시급하지만, 꽉 막힌 정국과 이해관계자의 반발 등을 고려하면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단기적으로 유일한 돌파구는 수출 활력을 높이는 일이다. 수출은 성장과 물가, 환율 안정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책이다. 이런 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수출전략회의에서 올해 수출 목표를 지난해보다 0.2% 증가한 6850억달러로 제시하고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으로서 모든 외교의 중심을 경제에 놓고 최전선에서 사투를 벌이겠다”고 밝힌 것은 반가운 일이다. 특히 부처별 수출 목표액을 설정하고 수출·투자책임관(1급)을 지정해 수출목표 이행 상황을 점검 관리하기로 한 것은 현 상황을 적극 타개해나갈 의지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선도적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 민관이 원팀으로 협력하고 수출이나 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도 걷어내면 이번 위기를 충분히 극복해나갈 수 있다고 본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