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현 산림청장은 “윗세대가 소중히 가꿔 전해 준 산림자원을 우리가 후대에 온전히 물려줘야 한다”며 “다시 한번 국민들이 힘을 합쳐 산불 예방에 나서자”고 호소했다.
최근 겨울·초여름 가뭄과 국지적 강풍 등으로 산불이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산불은 740건으로 최근 10년 평균(535건)보다 38% 이상 증가했다. 산불 피해 면적도 2021년 766㏊에서 지난해 2만4782㏊로 3배 이상 증가했다. 대부분 산불은 부주의로 인한 실화다. 지난해 산행인구 증가에 따른 입산자 실화와 산림 인접지에서의 소각산불이 전체 58%를 차지했다.
최근에는 연중 고온 현상, 낮은 강수량, 건조 일수 증가로 연중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동해안은 강한 계절풍과 침엽수림으로 산불 발생 위험성이 늘 높은 곳이다. 대형산불 통계가 시작된 1986년 이후 총 72건의 대형산불 발생했는데, 그중 동해안 지역이 40건으로 56%나 차지하고 있다.
이에 산림청은 연중·대형화되는 산불재난 방지를 위해 철저히 대응하고 있다. 산림 인접 지역 내 논·밭두렁 태우기 등 농업부산물 소각행위 근절을 위한 보다 강화된 대책을 세우고 있다. 산불 초기대응 강화를 위해 산불 진화에 필요한 임도를 늘리기로 했다. 취수원 확보를 위한 다목적 사방댐 등 산불방지 기반 시설을 확대하고 있다.
농·산촌 인구 감소,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인력 중심의 산불 대응 한계에 따라 4차 산업기술 확대 적용 등 스마트한 산불 대응에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전국 산불방지 장기대책을 마련했다”며 “무엇보다 인명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고 국가기간시설 및 군사시설, 문화재 보호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특히 경남 밀양 등 대형 산불 피해지의 주변에서 재선충병 피해가 확산 추세에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매년 4월 기준)은 2014년 218만 그루에서 2021년 31만 그루까지 낮췄지만, 지난해 38만 그루로 다시 늘었다. 올해는 78만 그루로 예측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지역도 매년 늘고 있다. 전국 시·군·구 기준으로 2014년 86곳에서 2021년 135곳, 지난해 말 140곳으로 늘었다.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다양한 방제 전략을 추진 중이다. 큰 틀에서 보면 드론, 유전자 진단키트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소나무재선충병 예찰 및 관리를 스마트화하고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 등 현장 지원을 강화해 소나무재선충 방제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 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한 예방사업 및 감염목 등의 산업적 이용 활성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산사태도 인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산림재해 중 하나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짧은 시간 특정 지역에 많은 비를 뿌리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토의 63%가 산림으로 경사가 급한 지역이 많고, 지질적으로 응집력이 낮은 마사토 비중이 높아 산사태에 취약하다. 최근 10년간(2013∼2022년) 연평균 244㏊의 산사태 피해가 발생했지만 2016년 이후 산사태 피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2020년에는 역대 최장기간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산사태 피해지는 1343㏊에 달했다. 이는 2002년 2705㏊, 2006년 1597㏊에 이은 세 번째 규모다. 산림청은 오는 2027년까지 제3차 전국 산사태예방 장기대책을 세우고 산사태 재난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