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문을 연 아르떼뮤지엄 제주는 미디어 아트를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선 ‘핫플’(핫 플레이스)로 꼽힌다. 3년밖에 안 된 신생 박물관인데도 제주도를 찾는 이들의 관광 일정표에 빠짐없이 오르는 명소가 됐다. 이 뮤지엄의 ‘주인장’은 디스트릭트코리아. 제주 아르떼의 성공에 힘입어 전남 여수와 강원 강릉에도 잇따라 분점을 열었다.
지금은 연매출 500억원이 넘는 탄탄한 뮤지엄 기업이 됐지만, 몇 년 전만 해도 디스트릭트는 직원 월급을 주기 힘들 정도로 살림살이가 빠듯했다. 아르떼 제주를 짓느라 돈줄은 말랐는데, 입장료 수입이 들어오려면 1~2년을 더 기다려야 했기 때문이다.
이런 ‘보릿고개’를 디스트릭트가 이겨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인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있었다. 디스트릭트의 기술력과 아르떼 뮤지엄의 공익성 등을 높이 평가해 2020년부터 3년간 29억원을 지원한 것. 이 덕분에 디스트릭트는 그동안 보기 힘들었던 수준 높은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예정대로 만들 수 있었고, 이 작품이 들어선 아르떼뮤지엄은 420만 명이 찾는 명소가 됐다. 이성호 디스트릭트코리아 대표는 “그때 콘텐츠진흥원의 도움이 없었다면 아르떼뮤지엄도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콘진원은 29일 서울 동대문구 콘텐츠인재캠퍼스에서 ‘K콘텐츠, 한국 경제의 게임체인저’란 성과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콘텐츠 지원 성공사례를 공개했다. 콘진원이 한 해 만지는 돈은 6000억여원. 이 돈을 콘텐츠 제작에 투입하기도 하고, 창작 지원금을 주기도 한다.
지난해 방영된 인기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이 그랬다. 콘진원은 이 작품을 기획한 중소제작사 래몽래인에 5억원을 건넸다. 래몽래인은 이 돈으로 ‘재벌집 막내아들’의 지식재산권(IP) 50%를 확보했다. 돈 많은 방송사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가 IP를 전부 가져가는 일반적인 드라마 제작 방식과 다른 모습이다.
콘진원은 채널 ENA와 넷플릭스를 타고 국내외 드라마 팬들의 마음을 흔든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숨은 도우미 역할도 했다. 이 작품을 만든 에이스토리는 콘진원의 ‘방송영상진흥재원 융자 지원’ 대상으로 선정돼 은행에서 저금리로 57억원 규모의 대출을 받았다.
이 드라마를 집필한 문지원 작가도 콘진원의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다. 문 작가는 2013년 콘진원의 ‘창의인재동반사업’의 멘티로 참여해 8개월 동안 매달 100만원을 받았다. “큰돈은 아니었지만 신인 작가가 창작에 집중하는 데 상당한 힘이 됐다”고 그는 콘진원에 고마움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뽀로로’가 글로벌 캐릭터가 된 데도 콘진원이 한몫했다. 콘진원의 해외 진출 현지화 지원 프로그램 대상이 된 뒤 해외시장을 휘젓는 데 탄력이 붙었기 때문이다.
애덤 스타인먼 미국 워너브러더스 부사장은 “한국의 콘진원처럼 제작자에게 우호적인 정부기관을 다른 나라에선 본 적이 없다”며 “창작자의 요구에 맞춰 시시각각 도와주는 정부기관은 전 세계에 콘진원이 유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플뢰르 펠르렝 전 프랑스 문화부 장관도 “한국 콘텐츠의 세계적인 성공은 확고한 공공정책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조현래 콘진원장은 “K콘텐츠 수출액은 지난 3년 동안 32%나 늘어나며 한국 수출의 구원투수 역할을 하고 있다”며 “그동안 드라마 제작에 지원금을 집중 투입했는데, 앞으로는 신기술을 접목한 콘텐츠에 지원액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