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리더와 전문가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년간 추진해온 ‘가치동맹 중심 외교’와 ‘한·일 관계 개선’ 등 외교·안보 정책에 대해 방향성과 속도 측면 모두에서 후한 점수를 줬다. 지난달 말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실효적 확장억제를 포함한 ‘워싱턴 선언’을 이끌어내고,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셔틀외교 복원 등 한·일 관계를 정상화한 것이 전문가 사이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의견은 윤 대통령의 자체 진단과도 일치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첫머리 발언에서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상상할 수 없던 일이 한·일 간에 이뤄지고 있다”며 “한·일 양국이 서로 교류·협력하면서 신뢰를 쌓아간다면 한·일 관계가 가장 좋았던 시절을 넘어 새로운 미래를 개척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가 기존의 균형외교 대신 가치동맹 중심 외교로 정책 전환을 추진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은 적절한 정책(평균 68.4점)으로 평가했다. 또 가치동맹 중심의 외교정책 속도는 69.7점을 기록해 속도 관련 설문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만 가치동맹 중심 외교의 방향성에 대해 12명이 100점 만점, 6명이 0점을 줘 양극단이 많았다. 0점을 준 한 외교안보 전문가는 “정부가 미국의 힘에 너무 의존해 중국을 과소평가하는 것 같다”며 “국익에 도움이 되는지 냉철히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지금 국제사회에서 ‘안미경중’ ‘전략적 모호성’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며 “미·중 대립이 심화하면서 미국이라는 확실한 노선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피했다”고 평가했다.
‘한·미·일 동맹 강화가 국익에 끼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5.5%가 ‘매우 긍정적’, 29.5%가 ‘다소 긍정적’이란 반응을 보였다. 긍정적 반응이 전체 응답자의 75%를 차지할 만큼 압도적이었다.
정부가 공급망 안보와 관련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과학법 관련 대응을 잘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전문가의 38.4%가 ‘대응을 잘한 편’이라고 답했다. 이어 ‘미흡했다‘(28.6%), ‘보통이다’(16.1%), ‘매우 잘못했다’(10.7%) 등의 순이었다. 대응을 잘못했다고 본 전문가는 “정부가 IRA 등에서 한국 기업이 예외적 조치를 받도록 하기 위해 세부 협의를 잘 이끌어내야 하는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맹진규 기자 3cod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