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한국처럼 기술적으로 최첨단에 시장에 먼저 진출하는 것은 상당히 가치 있는 일입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써니베일에 있는 구글 클라우드 사무실(구글MP1)에서 글로벌 언론간담회를 갖고 한국어와 일본어로 먼저 인공지능(AI) 챗봇 '바드'를 먼저 내놓은 이유에 대해서 "한국이 기술적으로 최첨단에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구글은 전날 미국 마운틴뷰에서 개최한 연례 개발자회의 I/O에서 바드를 전세계 180개국에 공개하면서 한국어와 일본어로도 이날부터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영어 다음으로 바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은 두 언어가 처음이다. 그만큼 기술적으로 두 국가의 중요성이 컸다는 설명이다.
한국과 일본이 앞선 기술을 받아들이는 데 적극적이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보다 먼저 바드를 자국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다. 피차이 CEO는 "한국과 일본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역동적이고 흥미로운 지역"이라며 "이들 국가는 신기술을 받아들이는 가장 선두에 서있다"고 말했다. 특히 "휴대폰은 한국과 일본에서 서방 국가보다 훨씬 빠르게 보급됐다"며 휴대폰을 예로 들었다. 그는 "1999년 서울에서 택시를 탔을 때 운전자가 휴대전화 3대를 이용하고 있었던 기억이 강렬히 남아 있다"며 "일본에서 저녁을 먹는 자리에서 바로 앞에 앉아있는 사람에게 내가 따라잡을 수 없는 속도로 문자를 보내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기술의 최첨단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기술의 최첨단에 있는 한국과 일본에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AI도 빠르게 확산될 것이란 기대감이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들 국가의 언어로 구글이 생성형 AI를 먼저 내놓고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도 읽힌다.
한국어와 일본어가 영어와 다른 언어적 특성도 이유로 들었다. 피차이 CEO는 "영어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는 굉장히 멀리 떨어진 언어"라며 "영어로 AI를 개발할 때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포인트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AI의 기반이 되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학습시킬 때 영어에 편중하면서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을 어순마저 정반대인 한국어와 일본어를 학습하면서 보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우리가 반드시 고려했어야 하는 모든 것을 일깨워주고 다른 언어로 작업하는 것을 쉽게 만들어준다"고 덧붙였다.
또한 한국어와 일본어가 LLM 개발에 있어서 안전한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이라는 것도 꼽았다. 피차이 CEO는 "LLM을 개발하는데 정답은 없지만 안전한 작업도 중요한 이유"라며 "우리는 지역 팀과 함께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최고 수준까지 도달했다고 느꼈을 때 (바드의 한국어 버전을) 출시했다"고 말했다. 성급하게 생성형 AI를 내놓아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일을 막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했고, 그런 차원에서 한국이 좋은 장소였다는 설명으로 해석된다.
써니베일=서기열 특파원 phil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