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전세계 각국이 중국 없이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만들 수 있을까.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중국이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희귀 광물을 대부분 장악하고 있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16일(현지시간) 진단했다.
NYT는 "전기차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국가는 수십 년 동안 경제적, 지정학적 우위를 얻을 것"이라며 "지금까지 유일한 승자는 중국"이라고 지적했다.
서방국이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나라들이 희귀 광물 채굴에서부터 제련, 엔지니어 훈련, 대규모 생산시설 구축까지 배터리 생산의 모든 과정을 선도하는 중국을 따라잡는 데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는 게 이 신문의 평가다.
컨설팅 그룹인 벤치마크 미네랄은 중국이 오는 2030년까지 다른 나라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2배 이상 많은 배터리를 생산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중국이 우위를 차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희귀 광물들을 중국이 대부분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수년간 아프리카, 남미 등 다른 나라의 광물 자원에 대규모 투자를 지속해왔고, 5개 대륙에 걸쳐 다수 광산회사의 지분을 갖고 있다.
원자재 컨설팅회사 CRU 그룹은 세계 코발트 채굴량의 41%, 리튬 채굴량의 28%, 니켈 채굴량의 6%, 망간 채굴량의 5%를 각각 중국이 통제할 수 있게 됐다고 추산했다. 중국 본토에 많이 매장된 흑연의 경우 글로벌 채굴량의 78%를 중국이 장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기업들도 합성 흑연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생산 비용은 중국보다 훨씬 비싸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은 또한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희귀 광물 대부분의 제련을 담당하고 있다. 미국은 1990년대만 해도 리튬 생산을 주도했지만, 정제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는 논란 때문에 생산 주도권을 뺏긴 상태다.
미국지질조사국(USGS) 집계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리튬 생산량 세계 점유율은 16% 정도로 호주(48%), 칠레(26%)에 비해 낮다. 하지만 제련·가공 단계에서는 점유율이 65%(2022년 기준)로 높아진다.
최종적으로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이 서방보다 앞서있다는 점 역시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의 지배를 공고화한다. 중국 정부는 로컬 배터리 업체를 노골적으로 지원하고, CATL과 BYD 등 굴지의 배터리 업체들은 중국 시장을 등에 업고 성장해왔다. NYT는 이에 대해 "중국의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한국과 일본 경쟁자들을 희생시켜 성장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중국의 배터리 공장 운영 비용이 서방국의 절반 정도라는 것도 경쟁 우위 중 하나로 꼽힌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인플레감축법(IRA)을 시행하며 중국을 압박하고 있지만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을 완전히 배제하는 건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스콧 케네디 수석 고문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중국과 협력하지 않고 전기차에서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