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그동안 가업상속공제 요건 중 승계 이후 가업 영위 기간을 10년에서 5년으로 줄이고, 상속공제 및 증여세 과세 특례 대상을 넓혀 매출 5000억원 미만의 중견기업도 포함했다. 일본의 상속제도를 참고해 상속세와 증여세 납부를 일정 기간 유예해주는 방안도 최근 도입했다. 이런 개선안이 조금 일찍 도입됐다면 고씨는 파산이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내몰리지 않았을지 모른다.
기업들은 이제 뒤늦게나마 승계 스트레스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아직은 갈 길이 멀다는 게 중론이다. 최근 상속제도 개선 방안이 진일보한 건 사실이지만 여전히 험난한 장애물이 적지 않아서다. 무엇보다 중소기업에 비해 혜택의 폭이 제한된 중견기업의 사정이 암담하다는 게 문제로 꼽힌다.
가업상속공제의 취지는 세금을 줄여서라도 기업의 영속성을 높이고 투자를 늘려 경제 성장을 돕자는 데 있다. 이런 논리라면 중소기업보다 규모가 크다고 중견기업에 대한 혜택에 인색할 이유는 없다. 중견기업은 더구나 수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곳이 많다. 정부의 자의적인 ‘선 긋기’는 오히려 ‘피터팬 증후군’을 조장할 수 있다.
상속이 이뤄지는 가족기업을 ‘부의 대물림’이라는 삐딱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고리타분한 사회적 인식도 바뀔 때가 됐다. 경제학 분야 세계 최고의 저널로 꼽히는 <아메리칸 이코노믹 리뷰>(2010년 10월)에 따르면 전 세계 상장회사의 45%가 가족기업이다.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중시하는 미국에서조차 S&P500지수에 편입된 기업의 3분의 1, 포천 500대 기업의 37%가 가족기업이다. 한국에서만 유별나게 가업승계에 집착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업승계의 의미를 되새겨볼 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