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우르르 몰려가던 지자체…거품 꺼지자 사업 접는다

입력 2023-05-19 18:18   수정 2023-05-30 19:11


지방자치단체들이 한때 경쟁적으로 뛰어들었던 가상현실 공간 ‘메타버스’ 사업을 잇달아 폐기하거나 축소하고 있다. 메타버스 개발·유지 비용이 적지 않게 드는 데다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전환 후 비대면 수요가 확 줄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제대로 준비하지 않고 너나없이 사업에 뛰어들었다가 쉽게 접는 ‘따라하기식 행정’의 단면을 보여준 사례라는 지적이 나온다.
우르르 메타버스 투자, 와르르 폐기
19일 한국지방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2월까지 메타버스 관련 서비스를 추진했거나 추진 중인 지자체는 14곳에 달했다. 경기도 충청남도 제주도 사례 등을 포함하면 사실상 전국 광역지자체 17곳 모두 메타버스 관련 사업을 벌였다. 2020~2021년 페이스북이 ‘메타’로 이름을 바꾸는 등 세계적으로 메타버스 관련 열풍이 불었던 영향이다. 당시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등에서 메타버스가 큰 화두로 떠오르자 지자체마다 앞다퉈 관련 사업에 나섰다.

이렇게 야심차게 시작한 메타버스 사업 중 상당수가 1~2년 만에 흐지부지되고 있다. 수원시는 2021년 11월 메타버스 정책연구단을 꾸려 가상의 지방정부 ‘버추얼 수원’을 운영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웠다가 계획을 폐기했다. 서울시의회는 시의회 메타버스를 운영하기 위해 10억원의 예산을 잡았다가 두 차례 자문회의에서 “안 하는 게 낫겠다”고 결론 내고 불용예산(안 쓴 예산) 처리했다. 제주도는 메타버스에서 제주 특산품 쇼핑몰을 운영하려는 계획을 세웠다가 도의회에서 “메타버스 쇼핑 자체도 활성화돼 있지 않은데 시기상조”라는 질타를 받았다.


열심히 만들어 놓은 메타버스도 후속 투자가 따르지 않아 관심에서 멀어져 방치되는 곳이 대다수다. 전라남도는 ‘전남 관광 메타버스’에서 여수 순천 진도 등 세 곳의 여섯 개 관광명소를 3차원 공간에 구현했다. 누적 방문객이 10만 명에 달할 정도로 한때 주목받았으나 이날 오후 현재 방문자는 ‘0명’이다. 광주시가 네이버 제페토에 마련한 ‘빛고을 광주광역시청’ 소통플랫폼은 누적 방문자가 622명에 그쳤다. 업데이트도 몇 달째 멈춘 곳이 태반이다.

제페토나 SK텔레콤의 이프랜드 등 대기업이 개발한 플랫폼에 들어간 경우에는 관리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방문객에 대한 지속적인 유인책을 마련하는 게 쉽지 않다. 제페토에 조성된 충북 영동의 송호국민관광지나 경북 로컬관광 기댈언덕빌리지(포항 영덕 울진 바닷가)는 하루 종일 10명도 찾지 않는 날이 흔하다.
유행 따르다가 세금만 낭비할라
아직 의지가 강한 지자체도 일부 있다. 서울시는 2026년까지 405억원을 쓰겠다는 계획하에 ‘메타버스 서울’을 운영하고 있다. ‘메타버스 수도 경북’을 시작한 경상북도는 이 사업에 올해에만 예산 221억원을 편성했다. 이병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콘텐츠과장은 “서울과 경북은 데이터 보안 등의 이슈를 고려해 직접 메타버스를 하겠다는 계획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해당 지자체에서도 “디즈니와 메타도 쉽지 않은 메타버스 사업을 지자체가 굳이 직접 해야 할 이유가 있느냐”는 의견도 있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메타버스 산업 활성화 태스크포스(TF)에서 “공공데이터를 개방해 메타버스 산업 전체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지자체를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직접 하는 것보다는 민간 업체들과 협력하는 쪽으로 지자체의 역할을 정한 셈이다.

애초에 지자체들이 ‘유행 따라’ 세금을 쓰는 행태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이 많다. 김진형 경남연구원 콘텐츠산업정책 담당 연구위원은 “국가적 예산이 투입됐지만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구현된 대부분의 콘텐츠가 조잡하고 지역에 특화된 스토리라인을 찾아보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자꾸만 바뀌는 트렌드를 따라가기에 바쁜 지자체 담당자들도 걱정이 많다. 올 연말께 메타버스를 선보이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한 지자체 관계자는 “작년에 기획할 때는 주목받는 트렌드라는 생각이었는데 개발하는 사이에 열기가 식어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최해련/김대훈 기자 haeryo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