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 되면 장관이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권을 갖고, 부령(部令) 발령권도 가진다. 초대 수장 박민식 장관의 어깨가 그만큼 무거워졌다. 6·25 때 나라를 지키다 희생된 국군 가운데 아직도 유해를 수습하지 못한 호국장병만 해도 12만1879명에 달한다. 유해찾기를 해왔지만 최근 3년간 수습한 유해는 730구에 그친다. 올해 정전 70년, 보훈부가 속도를 내야 할 주요 업무다. 선진 민주정부로 가면서 보훈 업무에도 ‘서비스’가 자연스럽게 붙는다.
항일 건국의 공헌자 평가·발굴은 예우나 보상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 직전 정부 때 ‘김원봉 서훈 논란’이 좋은 교훈이다. 이념 전쟁 같은 국내 좌우·보혁 갈등도 현대사 평가나 대한민국 수립 과정에 대한 인식차에서 비롯하는 수가 많다. 건국 대통령 이승만 기념관 건립 필요성에 대한 소견을 밝힌 박 장관에게 야당이 격한 정치적 공세를 퍼부은 것도 그런 배경에서였다. 지난해 보훈처는 보훈 의료서비스 개혁 등 나름 내실 행정을 도모했다. 하지만 좀체 타협도 안 되는 ‘한국형 역사전쟁’의 드높은 파도를 넘어서야 한다. ‘호국보훈에 진보·보수가 어디 있나’라고 흔히 말하지만, 이쪽까지 좌우 이념의 살벌한 격전지처럼 되곤 한다.
이래저래 부 현판을 새로 거는 보훈부 역할이 중요해졌다. 3·1절, 광복절 행사 주체가 보훈부냐 행정안전부냐, 국립현충원 관할이 국방부냐 보훈부냐의 문제가 아니다. 초·중·고교 보훈 교육도 시대에 맞게 잘 짜야 한다. “보훈이란 국민 통합과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는 마중물이자, 지속 가능한 미래를 이끄는 국가 핵심 기능”이라는 박 장관의 부 출범 입장문에서 신 보훈 행정을 기대하게 된다.
허원순 수석논설위원 huhw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