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우리나라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증가 속도가 임금근로자 증가 속도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11일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2∼2022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연평균 2.5% 증가했다. 같은 기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임금근로자(15∼64세)의 연평균 증가율(1.4%)보다 1.8배 높다.
전체 임금근로자가 2012년 1718만5000명에서 지난해 1977만6000명으로 15.1% 늘어나는 사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28.6%(79만3000명→102만명)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의 증가율을 연령대로 보면 50대 이상이 28만7000명에서 47만명으로 연평균 5% 늘어 가장 높았다.
이 기간 청년층(15∼29세)은 22만7000명에서 29만명으로 연평균 2.5%, 30대는 9만7000명에서 10만4000명으로 연평균 0.7% 각각 늘었다. 40대는 18만2000명에서 15만6000명으로 연평균 1.6% 줄었다.
지난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10명 중 6명(60.8%)은 당장 생활비 등 수입이 필요해 시간제 근로에 나선 '생계형 시간제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원하는 분야 일자리가 없어서'(17.2%), '육아·가사 등 병행'(5.5%),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어서'(3.4%)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 10년간 생계형 시간제근로자가 가장 급격히 늘어난 연령대는 청년층이었다. 7만1000명에서 13만4000명으로 연평균 6.6% 증가했다.
50대 이상은 23만4000명에서 36만1000명으로 연평균 4.4% 늘었다. 30대와 40대는 연평균 1.7%, 4.4%씩 각각 감소했다.
한경연은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와 비교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비중이 높다고 지적했다.
2021년 기준 한국의 전체 시간제근로자 중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비중은 43.1%였다. OECD 38개국 가운데 비교가 가능한 수치를 제공한 30개국 평균(29.1%)의 약 1.5배로, 30개국 중 7위 수준이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