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점도표대로 Fed가 연말까지 금리를 두차례 가량 올리면 최근 3연속 금리 동결을 통해 연 3.5%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은행도 추가 인상을 단행할수밖에 없다는 예상이 나온다.
하지만 Fed가 이날 금리를 동결하면서 공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의 점도표에 따르면 올해 말 금리 예상치(중간값)은 연 5.6%로, 지난 3월 전망치 연 5.1%보다 0.5%포인트 높았다. 금리를 동결한 결정과 달리 점도표는 매파적(howkish, 긴축선호)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18명의 위원 중 9명이 올해 말 금리를 5.5~5.75%로, 2명이 5.75%~6.00%로 봤다. 6.00~6.25%를 꼽은 위원도 1명이 있었다. 현재 기준금리 수준이 연 5.0~5.25%인 점을 감안하면, 한번에 금리를 0.25%포인트 높이는 '베이비스텝' 기준으로 두차례 금리를 더 올려야 최종 금리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FOMC 위원들이 최종금리 수준을 더 높게 본 것은 여전히 근원물가지수가 높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날 Fed는 경제전망 요약 자료에서 근원물가상승률 전망치를 3.9%로 제시했다. 지난 3월 3.6%에서 0.3%포인트 높아졌다.
1.75%포인트의 금리차는 역사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1%포인트가 감당 가능한 최대 금리차라고 보는 경우가 많다. 외환 수급 등을 고려하면 금리가 높은 미국으로 자금이 유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은은 금리차가 환율을 결정하는 요인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환율 결정이론은 구매력 평가 이론 등 다양하다"며 "한미간 금리 격차 때문에 환율이 절하될거라는 식으로 (이야기)하지 말아달라"고 했다.
문제는 Fed가 점도표대로 금리를 추가로 높일 경우다. 현 상황에서 Fed가 한차례 더 금리를 인상해도 금리 격차는 2%포인트로 높아진다. 한국이 금통위원들이 예상하는 연말 최종 금리 수준인 연 3.75%로 금리를 한차례 더 올리더라도 Fed가 점도표대로 두차례 인상한다면 2%포인트 격차가 유지된다. 이는 환율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수준으로 파악된다. 최근 반도체 경기 회복 기대감에 원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금리차에 따른 요인으로 약세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이와 관련해 "시장에서는 점도표 보다는 금리 동결 결정이 더 중요하다고 본 것"이라며 "Fed가 새로운 점도표를 따를 것인가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크레디아그리콜은 "정책금리 0.25%포인트 추가 인상은 가능하나 0.5%포인트 인상은 실현되기 어려워보인다"고 덧붙였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은 총재는 15일 오전 서울 은행연합회관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관계기관 합동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FOMC 결정사항에 따른 영향을 점검했다. 추 부총리는 "미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다"며 "높은 경계심을 갖고 국내외 금융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취약부문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