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로(初老)의 그는 요즘 배움과 가르침의 열정으로 가득하다. 얼마 전엔 AI 언어인 파이선을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자격증을 땄다. 국내 최고령이라고 한다.
원래 그를 만나려고 한 건 ‘최고령 전문가’라는 타이틀에 혹해서였다. 하지만 그는 한사코 인터뷰를 사양했다. “나처럼 특별한 사례가 일반화되면 안 된다”는 게 고사의 이유였다.
그가 50대에게 AI를 배우라고 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배워야 하고, 배울 수 있어서다. “조만간 일상 곳곳에서 AI발(發) 변화가 빠르게 일어날 겁니다. 시간문제일 뿐이에요. 그 변화를 좇아가지 못하면 스스로 깜깜한 어둠 속에 갇히는 것이나 다름없을 거예요.”
그 역시 새로운 과제에 도전 중이다. 한국어의 아름다움과 뉘앙스를 AI의 언어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도록 국어 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다행인 건 약간의 학습 능력만 있다면 누구나 AI의 각종 도구를 쉽게 익힐 수 있다는 사실이다. AI 테크놀로지의 발전 속도가 워낙 가파르고, ‘오픈 소스’라는 전 지구적인 지식 공유 덕에 컴퓨터공학의 문턱이 낮아진 덕분이라고 한다.
무엇보다 챗GPT는 언어의 장벽을 무용지물로 만든 첫 기술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굴지의 IT 기업들이 한국어에 기반한 챗GPT를 속속 내놓고 있다.
챗GPT는 생존을 위한 밀린 숙제일 수도 있지만, ‘인생 2막’을 자연스럽게 열 수 있는 ‘기회의 문’이기도 하다. 대화형 AI로도 불리는 챗GPT의 핵심은 프롬프트(prompt) 엔지니어다.
인터넷, 스마트폰이 등장했을 때의 전문가는 일반인은 범접하지 못할 실리콘밸리의 천재들이었다.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고, 휴대폰 속 각종 기능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할 때 그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일반인이 얼마나 있었겠는가.
챗GPT는 과거의 기술 혁명과는 차원이 다르다. AI 훈련사를 다른 말로 하면 인생도처유상수(人生到處有上手)다. 우리 삶 가는 곳마다 고수가 있기 마련인데, 이들이야말로 AI 시대의 승자일 수 있다.
수많은 직업군에서 자신만의 스킬(전문적인 능력)을 갖고 있는 장삼이사(張三李四)들이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50대는 ‘스킬의 정점’에 도달할 시기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로 출발할 최적기인 셈이다.
최근 AI 과학자들 사이에선 개발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자성론이 나오고 있다. 부작용을 하나하나씩 제거하면서 인류의 삶에 기여할 ‘슬로 사이언스(느린 과학)’를 지향하는 목소리다.
이런 사정을 감안할 때 현시점에서 챗GPT는 기능의 진화보다는 기능의 확장에서 좀 더 많은 기회를 찾게 될 가능성이 높다. 챗GPT가 고령화 시대, ‘인생 2막’의 새로운 문을 열어 줄 해결사가 되지 말란 법도 없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