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제주도는 최근 신화역사공원 부지 내 상가시설을 추가하는 개발사업시행 승인(변경)을 고시했다. 해당 부지는 제주신화월드 리조트를 운영하고 있는 람정제주개발 소유로 이 회사는 2025년 말 개점을 목표로 다수의 유통채널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신화월드는 홍콩계 자본이 2조1000억원을 투입해 건설한 복합리조트다. 서귀포 신화역사공원 내 소유 부지는 여의도 면적의 80%에 달하는 250만㎡다. 이 중 절반에 2000여 개 객실 규모의 숙박시설과 테마·워터파크, 신세계사이먼 매장 등이 들어섰다.
나머지 절반은 공터로 남아 있다. 제주신화월드는 이 중 2만499㎡를 상가시설 부지로 확보하고 창고형 대형마트를 입점시키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샘 앙 제주신화월드 사업총괄 전무(사진)는 “인근 영어교육도시 입주민 등의 상업시설 수요가 있는 데다 대형 유통채널 다수가 입점 의사를 피력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신화월드는 상업시설을 포함해 추가 콘도 건설 등 ‘2단계 사업’에 1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다만 상업시설 입점에 대한 제주도민의 찬반이 엇갈리는 데다 여러 인허가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 유통채널들이 제주신화월드에 ‘러브콜’을 보내는 이유는 제주신화월드가 대규모 공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개장 후 5년 동안 온갖 악재를 딛고 복합 리조트이자 마이스(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플랫폼으로서 사업 역량을 검증받아서다.
2018년 개장한 제주신화월드는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이 주요 고객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카지노를 중심으로 사업을 기획했다. 하지만 사드 사태와 코로나19가 잇달아 터져 고전을 거듭했다.
제주신화월드는 생존을 위해 마케팅 전략을 완전히 새로 짰다. 대안은 ‘한국화’였다. 앙 전무는 “한국 고객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연구해 숙박, 레저, 식음, 쇼핑 등 모든 부분의 전략을 다시 세웠다”며 “기업 고객을 유치할 수 있는 마이스에도 전력을 기울여 행사 건수가 2018년 134건에서 지난해 410건으로 증가했다”고 했다. 제주신화월드 리조트 사업의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2021년 흑자로 전환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