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의 ‘파격적인’ 결정에도 교육 현장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학교당 냉방비 지원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것은 이미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이 자체적으로 편성을 마무리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올초 시·도 교육청에 나눠주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중 학교기본운영비 항목을 전년 대비 3324억원 증액했다. 나머지 부족분은 교육청이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충당했다.
이날 회의는 보여주기식이 된 당정협의의 현주소를 보여준 사례다. 김기현 대표가 취임한 3월 8일 이후 당 지도부가 참여하는 공개 당정협의만 약 30건으로 늘었다. 상임위 차원에서 진행하거나 비공개로 진행한 협의까지 포함하면 그 횟수는 훨씬 더 많아진다.
문제는 늘어난 당정협의에 비해 의미 있는 정책 결정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굵직한 현안을 다루는 당정협의도 있었지만, 이마저도 부처에서 결정한 정책을 듣고 정리해 발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안에 제동을 건 것이 여당이 유일하게 존재감을 발휘한 당정협의였다.
굵직한 아젠다를 발굴하는 대신 ‘생활 밀착형’ 이슈에만 집중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예비군 훈련 참여 학생의 학습권을 보호한다거나, 온라인 쇼핑몰의 ‘다크패턴’을 근절하겠다며 당정협의를 연 것이 대표적이다. 개별 부처에서는 “보도자료 한 번 발표하고 그칠 사안으로 당정협의까지 여는 사례가 부쩍 늘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작 여당이 역할을 해야 할 연금개혁 등 중요한 과제는 선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당정협의 주제로 채택되지 않는다. 찜통 교실 문제를 해결한다며 당 지도부가 초등학교까지 찾아간 건 여당이 그만큼 열심히 일하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하지만 ‘숟가락 얹기’ 당정협의가 늘어날수록 여당의 존재감은 오히려 희미해질까 우려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