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는 ‘파업 정당성이 확인됐고 국민 지지와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한 점’을 파업 철회 사유로 제시했지만 어불성설이다. 정당성이 부족한 정치파업에 대한 싸늘한 여론에 동력을 상실하고 슬그머니 출구작전을 폈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윤석열 정권의 공안 탄압을 7월 총파업 투쟁으로 돌파하겠다”고 수개월 전부터 공언하는 등 정치파업임을 숨기지 않았다. 생명을 다루는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책임감을 내팽개치고 상급단체인 민주노총 정치파업의 선봉대를 자처하는 큰 오점을 남기고 말았다. 정당성이 부족하다 보니 의사협회 병원협회 간호조무사협회 등 14개 관련 단체가 총파업 반대 성명을 내는 등 의료계 내부에서조차 공감을 얻지 못했다.
파업이 종료됐지만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다. 보건의료노조는 “복지부와 쟁점 협의를 계속해 의미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다시 총파업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쟁점이라는 게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전면 확대, 간호사 1인당 환자 5명 관리, 공공의료 확충처럼 하나같이 간단치 않다. 이해관계가 복잡한 여러 이슈에 지금처럼 정부 성의만을 요구하고 실력행사로 관철하려는 자세로는 더 큰 갈등만을 부를 뿐이다.
국민 생명과 건강을 볼모로 이익을 얻겠다는 일방적·위협적 태도는 어떤 명분으로도 용납하기 힘들다. 2차 총파업을 고리로 무리한 요구에 집착하는 것은 고립을 자초하는 일임을 보건의료노조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파업 조기 종료와 무관하게 의료시스템 붕괴 위기를 초래한 책임 소재를 가리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일도 시급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