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수입량이 상반기에 2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30세대 젊은 층이 주도하는 위스키 열풍이 거센 데다 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후 ‘홈술’ 열풍이 약해진 영향이다. 와인 수입 업체들은 수입처와 프리미엄 와인의 종류를 늘리고 식당 등 판로를 다변화하는 식으로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19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와인 수입량은 3만1300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 줄었다. 지난해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13.2% 줄어든 데 이어 2년 연속 감소했다.
반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2021년 상반기(4만400t)와 비교하면 22.5% 쪼그라들었다. 올 상반기 와인 수입액 역시 2억7400만달러(약 3470억원)로 전년 동기보다 7.9% 감소했다. 연도별로 봐도 와인 수입량은 2021년 정점을 찍고 내려오고 있다. 2021년 7만6575t에서 지난해 7만1020t으로 7.2% 줄었다.
이처럼 와인 수입량이 감소한 원인으론 주류 트렌드의 빠른 변화가 꼽힌다. 국내 와인시장은 코로나19 기간에 집에서 혼자 술을 즐기는 홈술 열풍을 타고 급격하게 커졌다. 하지만 엔데믹으로 밖에서 술을 마시는 게 다시 일상화하면서 홈술용 시장이 급격히 위축됐다. 한 주류업체 관계자는 “와인 수입량이 팬데믹 기간에 너무 급격히 늘어 거품이 빠지는 단계”라고 말했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한 위스키 열풍도 와인시장엔 악재다. 위스키가 와인의 대체재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위스키 수입량은 1만6900t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9% 급증했다. 지난해 상반기 63.8% 불어난 데 이어 2년 연속 50% 이상 고성장세를 이어갔다.
이에 따라 와인 수입 업체들은 판로와 제품 다변화에 나섰다. 젊은 층 사이에서 위스키 열풍이 거세진 배경엔 나만의 개성 있는 술을 찾는 경향이 있는 만큼 와인으로도 이런 수요를 충족시키겠다는 게 이들의 전략이다. 업계는 고가 제품을 늘려 포트폴리오를 넓히는 방향으로 대처하고 있다.
와인 수입업계의 타깃 소비층도 변화하고 있다. 지난 3년간 ‘홈술족’을 겨냥했다면 이제는 식당·주점 등을 주로 공략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주류 수입업체 관계자는 “주류시장은 소비자가 한정돼 있기 때문에 와인과 위스키처럼 어느 한 주종의 소비가 늘면 다른 주종 소비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