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철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는 토론회에서 “고령화로 인한 복지 지출은 재정적자를 악화시킬 가장 큰 요인”이라며 “총선을 앞두고 국가채무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 만큼 재정준칙을 못 박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정권이 재정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안 된다”며 “재정을 ‘공유지의 비극’처럼 사용하면 경제가 황폐화한다”고 했다.
기획재정부는 중앙정부의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3% 이내로 관리하고 국가채무비율이 GDP 대비 60%를 넘으면 이 비율을 GDP 대비 2% 이내로 더 줄이는 재정준칙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9월 국가재정법 개정안으로 국회에 법안을 발의했다. 하지만 야당의 소극적 태도로 논의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기재부의 장기재정 전망에 따르면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2020년 43.5%에서 2060년 81.1%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대철 헌정회 회장은 “우리나라 중앙정부 채무는 2019년 699조원에서 올해 말 1100조원으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가채무는 청년들과 미래 세대가 갚아야 할 빚인 만큼 이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재정준칙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