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물가동향팀 장병훈·송상윤 과장, 임웅지 차장 등은 1일 한은 블로그에 게재한 ‘기업이윤과 인플레이션: 주요국과의 비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놨다. 장 과장 등은 소비자물가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는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가격변동지수) 상승률을 피용자보수(임금), 영업잉여(기업 이윤), 세금, 수입물가 등으로 분해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기여도를 확인했다.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4.4%의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 상승률 중 기업 이윤의 기여도는 -0.16%포인트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이 아니라 하락에 기여했다. 임금 기여도도 -0.01%포인트였다. 물가 상승을 이끈 것은 수입물가로 전체의 4.39%포인트가 해당했다.
이는 미국 및 유로지역과 크게 다른 것이다. 미국은 지난해 전체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 상승률 6.3% 중 3.73%포인트가 기업 이윤 증가에 따른 것이었다. 수입물가는 오히려 디플레이터를 낮추는 요인이었다. 유로지역은 작년 4분기를 기준으로 물가 상승의 절반가량이 기업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탐욕 인플레이션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거치며 원가 압박을 받은 기업이 제품 가격을 과도하게 높였고, 이것이 고물가의 원인이 됐다는 주장이다. 한은은 한국에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전쟁 영향을 덜 받았기 때문으로 봤다. 가계와 기업이 과도한 임금 및 가격 인상을 자제한 것도 영향을 줬다고 덧붙였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