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수입 닭고기 약 3만t에 할당 관세를 적용했지만 육계 소비자 가격은 점차 오르고 있다. 수입 닭고기는 대부분 가공식품 제조, 외식 프랜차이즈 등 기업간거래(B2B) 채널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소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설명이다. 사룟값 상승이나 폭우 등의 자연재해로 사육 규모가 줄어 육계 가격이 계속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할당관세 적용 한 달이 지났지만 수입산 닭고기가 육계 시세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실정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1일 기준 닭고기 1㎏는 소매 시장에서 6349원에 거래됐다. 한 달 전(6271원)보다 소폭 올랐고 작년(5702원)과 비교하면 11.3% 비싸졌다.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생닭도 한 달 새 가격이 상승했다.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는 생닭 1㎏가 8000원~1만원 사이에서 판매되고 있다. 지난달보다 10% 이상 오른 가격이다.
이같은 괴리는 수입 닭고기와 소비자들이 주로 구매하는 닭의 사용처가 다른 것에서 나온다. 수입 닭고기는 뼈 없는 순살로, 냉장이 아닌 냉동 상태로 국내에 반입된다. 대부분 외식업체나 가공식품 제조에 활용된다.
반면 삼계탕이나 닭볶음탕을 위해 가정에서 주로 구입하는 닭은 국산 냉장 닭이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여름철은 보양식 수요가 증가해 생닭 가격이 오르는 시기”라며 “수입 냉동육이 생계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중순에는 한반도 중부지역에 폭우가 내리며 종계(번식을 위한 닭)가 집단 폐사하기도 했다. 이는 병아리 입식(병아리를 가져와 키우는 것) 마릿수 감소로 이어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7월과 8월의 병아리 입식 마릿수가 각각 전년대비 3.2%, 0.7%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같은 기간 육계 도축 마릿수도 지난해 대비 4.5~4.9% 줄어들 전망이다.
농식품부는 “수입산 할당관세 조치가 없었다면 닭고기 가격이 더욱 폭등했을 것”이란 입장이다. 외식업계의 육계 수요 일부를 수입산이 대체한 덕에 국산 닭고기 가격 상승을 일부 방어할 수 있었다는 논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종계 생산성이 저하되며 병아리 공급이 줄었다”며 “축산계열화사업자의 병아리 추가 입식을 독려하고 닭고기 공급물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경제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