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하 주차장뿐만 아니라 주거동까지 조사 대상에 넣었다. 국토부에 따르면 주차장에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아파트는 184개 단지, 주거동에 적용된 아파트는 74개 단지, 둘 다 적용된 아파트는 31개 단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단보강근 설치 여부 등 안전과 관련한 부분은 모두 조사할 방침이다. 다만 가구 내 점검은 입주민의 동의를 받아 시행할 예정이다.
통상 3개월이 걸리는 점검 기간을 전문 인력과 장비를 갖춘 민간 안전진단 전문기관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2개월 이내로 단축할 방침이다. 점검 결과를 국토안전관리원이 확인하도록 하는 이중장치를 마련해 주민 불안을 최대한 해소하도록 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인력을 충분히 투입해 다음달까지 점검을 마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불안감 해소를 위해 무량판 구조를 특수구조 건축물로 분류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김오진 국토부 차관은 이날 “안전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 무량판 구조를 특수구조 건축물에 포함해 보다 안전한 설계와 특별점검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무량판 구조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철저한 관리와 시공이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국토부의 ‘특수구조 건축물 대상 기준’에 따르면 특수 구조물로 지정되면 구조의 특수성을 잘 아는 전문가가 설계와 시공, 감리 등에 참여해야 한다. 이를 통해 모든 과정에서 더 안전한 시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건설업계는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단지가 모두 잠재적인 부실시공 단지로 낙인 찍힐까 봐 우려하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무량판 구조는 층고가 제한된 고층 단지에 많이 적용하는 공법이고, 제대로 설계하고 시공하면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며 “무량판 구조 적용 단지가 모두 문제인 것처럼 여겨질까 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철저한 관리 감독을 통해 설계·시공·감리를 진행한다면 안전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의견이 많다. 콘크리트 구조 전문가인 홍성걸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는 “무량판 구조는 선진국에서도 널리 쓰이는 일반 공법으로 제대로 된 설계와 설계대로 잘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기둥이 슬래브를 뚫는 현상은 전단보강근 추가 등으로 얼마든지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도 “소비자가 넓은 공간을 원하다 보니 무량판 구조가 아파트 건설에 적용되고 있다”며 “전단보강근과 같은 안전 조치가 준수돼야 하고 감시도 철저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기열/김소현/심은지 기자 phil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