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3일부터 노트북과 PC, 태블릿 수입을 제한했다. 인도 현지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 기업을 막론하고 중국 등 다른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의 수입을 금지한다는 조치다. 인도에 진출한 삼성과 LG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에도 여파가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로이터에 따르면 인도의 2분기 전자제품 수입 규모는 197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25% 증가했다. 그러나 현지 생산량은 아직 적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인도의 노트북 및 PC 시장은 연 80억달러 규모로, 이 중 자국산은 3분의 1 수준이다. 인도 금융정보업체 엠케이글로벌의 마다비 아로라 이코노미스트는 “수입 비중이 높은 특정 상품의 수입을 대체하는 것이 목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최근 몇 년 동안 자국 생산을 장려하고 외국 제품 수입을 억제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제조업 육성을 위해 시행하는 생산연계인센티브(PLI) 정책이 대표적이다. 인도로 전자제품 등의 생산시설을 이전한 국내외 기업에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판매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도 지급한다.
블룸버그는 “나렌드라 모디 정부는 휴대폰 등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등 수년간 외국 전자제품 수입을 억제하고 자국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쳐왔다”며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이라고 보도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규제 내용을 파악한 후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기업에 미칠 여파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저가 노트북 위주인 인도 시장은 중국 기업 점유율이 높고, 프리미엄 제품에 주력하는 한국 기업의 주 타깃은 아니어서다. 또한 태블릿을 판매하는 삼성은 인도에 생산기지가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전면 금지가 아니라 라이선스를 받으면 수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인도 정부 입장을 들어봐야 한다”며 “최악의 경우에도 국내 기업은 인도에 공장이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을 옮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내에서는 정부가 시장원리를 무시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알리 아크타르 자프리 전 인도 IT제조업자연맹(MAIT) 사무총장은 “이번 조치의 핵심은 제조기지를 인도로 이전하라는 것”이라며 “이것은 너지(nudge)가 아니라 그냥 밀어붙이기”라고 비판했다.
정부 발표 이후 인도 현지 전자제품 제조기업 주가는 일제히 뛰었다. 인도 전자 제조업체인 딕슨테크놀로지스는 7.9% 올랐다. 엠버엔터프라이즈인디아와 PG일렉트로플라스트는 장중 각각 3.3%, 2.8% 상승했다.
보안 우려 때문에 중국산 제품을 막기 위한 조치라는 주장도 나온다. 로이터는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정부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의 제품만 수입하려 할 것”이라고 했다.
노유정/황정수 기자 yjroh@hankyung.com
○“자국 생산 장려책의 연장선”
이날 인도 정부는 “현지 제조를 촉진하기 위해 노트북과 태블릿, PC, 초소형 컴퓨터 및 서버 등의 수입을 즉각 제한한다”고 발표했다. 발표문에 따르면 수입 제한 대상 제품은 수입이 허용된다는 특정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인도로 반입할 수 있다.로이터에 따르면 인도의 2분기 전자제품 수입 규모는 197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25% 증가했다. 그러나 현지 생산량은 아직 적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인도의 노트북 및 PC 시장은 연 80억달러 규모로, 이 중 자국산은 3분의 1 수준이다. 인도 금융정보업체 엠케이글로벌의 마다비 아로라 이코노미스트는 “수입 비중이 높은 특정 상품의 수입을 대체하는 것이 목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최근 몇 년 동안 자국 생산을 장려하고 외국 제품 수입을 억제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제조업 육성을 위해 시행하는 생산연계인센티브(PLI) 정책이 대표적이다. 인도로 전자제품 등의 생산시설을 이전한 국내외 기업에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판매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도 지급한다.
블룸버그는 “나렌드라 모디 정부는 휴대폰 등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등 수년간 외국 전자제품 수입을 억제하고 자국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쳐왔다”며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이라고 보도했다.
○“삼성·LG, 큰 타격 없을 것”
인도의 수입 금지는 자국 전자제품 기업의 성장을 독려하는 동시에 해외 IT기업에 현지 제조기지를 건설하라는 압박이다. ‘인구 1위’ 나라인 인도에 제품을 팔지 못하면 글로벌 IT기업들은 타격을 입는다. 로이터에 따르면 인도에서 노트북 등을 판매하는 기업은 삼성전자와 LG전자, 애플, 델, HP, 레노버, 에이서 등이다. 상당수는 중국 제조공장에서 인도 수출품을 생산한다.삼성전자와 LG전자는 “규제 내용을 파악한 후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기업에 미칠 여파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저가 노트북 위주인 인도 시장은 중국 기업 점유율이 높고, 프리미엄 제품에 주력하는 한국 기업의 주 타깃은 아니어서다. 또한 태블릿을 판매하는 삼성은 인도에 생산기지가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전면 금지가 아니라 라이선스를 받으면 수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인도 정부 입장을 들어봐야 한다”며 “최악의 경우에도 국내 기업은 인도에 공장이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을 옮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내에서는 정부가 시장원리를 무시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알리 아크타르 자프리 전 인도 IT제조업자연맹(MAIT) 사무총장은 “이번 조치의 핵심은 제조기지를 인도로 이전하라는 것”이라며 “이것은 너지(nudge)가 아니라 그냥 밀어붙이기”라고 비판했다.
정부 발표 이후 인도 현지 전자제품 제조기업 주가는 일제히 뛰었다. 인도 전자 제조업체인 딕슨테크놀로지스는 7.9% 올랐다. 엠버엔터프라이즈인디아와 PG일렉트로플라스트는 장중 각각 3.3%, 2.8% 상승했다.
보안 우려 때문에 중국산 제품을 막기 위한 조치라는 주장도 나온다. 로이터는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정부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의 제품만 수입하려 할 것”이라고 했다.
노유정/황정수 기자 yjro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