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을 잡아먹는 부모만큼 인간의 원초적인 공포와 혐오감을 자극하는 장면이 또 있을까. 스페인을 대표하는 회화 거장 프란시스코 고야(1746~1828)가 그린 ‘아들을 잡아먹는 사투르누스’는 그 주제를 가장 극적인 방식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음울하고 기괴한 색조와 형태는 꿈에 나올까 두려울 정도다. 하지만 그 속에 숨겨진 이야기는 더 무섭다. 무더운 여름밤을 서늘하게 식혀줄 세 가지 감상 포인트를 정리했다.
하지만 그의 아내는 이런 패륜에 크게 슬퍼하고 반발했다. 그러다 한 명을 간신히 살려냈는데, 그 아이의 이름이 바로 주피터(제우스)였다. 장성한 주피터는 아버지에게 몰래 구토를 유발하는 약을 먹였다. 그 덕분에 뱃속에 있던 플루토(하데스)와 넵투누스(포세이돈) 등 주피터의 형제자매들이 밖으로 튀어나왔다. 주피터가 이들과 함께 싸워 아버지를 무찌르고 신들의 왕좌에 오르는 게 그리스·로마 신화 시작 부분의 얘기다.
하지만 이 그림에는 신화와 결정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 신화에서 주피터가 아버지를 이길 수 있었던 건 아버지 뱃속에서 나온 형제자매들이 온전한 모습으로 함께 싸워줬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 그림에서 사투르누스는 아이의 머리와 왼손을 이미 먹어치운 상태다. 꿀꺽 한 입에 삼키는 게 아니라 씹어먹었다는 얘기다. 이렇게 되면 형제자매는 물론 주피터도 살아남을 수 없다. 부활이 불가능한, 영원한 죽음과 절망이다.
고야는 잘 나가는 궁정화가로 평생을 큰 어려움 없이 유복하게 살았다. 그가 왜 이런 그림을 그렸는지, 무엇을 표현했는지에 대해서는 해석이 분분하다. 작가가 작품에 대해 어떤 설명도 남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스페인·프랑스 전쟁에서 받은 충격과 인간에 대한 혐오를 표현했다는 설도 있고, 단순히 자신 안에 있는 예술혼을 드러낸 결과물이라는 설도 있다.
왜 이런 작품을 그렸든 간에 이 작품에서 고야의 광기가 강하게 느껴지는 건 사실이다. 여기서 생각해보면 섬뜩한 점이 하나 있다. 그림이나 만화를 그려봤다면, 한 번쯤은 자기가 그리는 것과 같은 표정을 지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그림을 그릴 때 고야는 무슨 표정을 짓고 있었을까.
반면 페테르 파울 루벤스가 같은 주제로 그린 그림은 또 다른 느낌의 공포를 선사한다. 자식을 삼키지 않고 뜯어먹는다는 점에서는 고야의 그림과 같지만, 화풍과 색채가 부드러워 직관적인 공포는 덜하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자. 고야의 그림 속 사투르누스는 광기에 취해 있지만, 루벤스의 그림 속 사투르누스는 누가 봐도 맨정신이다. 자신의 욕망을 확실히 실현하기 위해, 괴로워하는 얼굴이 보이는 정면에서 아이의 생살을 뜯어먹는 그 모습. 그리스 신화의 신이 사실상 인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존재라는 걸 감안하면 루벤스는 이렇게 말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 “결국 인간이 제일 무섭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