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프랑스 파리. 예술의 도시에 이제 막 새로 문을 연 미술관을 두고 파리지앵들은 혹평을 쏟아냈다.
“저런 흉물이 다 있나…. 아직 공사도 다 안 끝난 거 같은데, 저게 국립미술관이라고?”
그럴 만했다. 건물 안에 있어야 할 철골, 배수관, 에스컬레이터까지 그대로 밖에 노출됐으니. 이렇게 손가락질을 받은 미술관은 훗날 파리의 대표 ‘랜드마크’가 된다. 바로 세계적 현대미술관 중 하나인 ‘퐁피두센터’다.
퐁피두센터를 가로지르는 빨간색 에스컬레이터를 보다 보면 서울 여의도 ‘파크원’을 떠올리는 사람도 많다. 맞다. 두 개 건물 모두 2007년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상자 리처드 로저스(1933~2021)의 작품이다.
이때 그를 괴롭혔던 난독증은 ‘기회’가 됐다. 로저스는 나중에 회고록에서 “난독증은 다른 길이 아니라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게 만들었다”고 했다. 그는 전역하자마자 런던에 있는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로 향했다. 이후 예일대 건축대학원에도 합격해 ‘건축가의 길’을 걸었다.
그는 파격적인 설계도를 들이밀었다. 건물 안에 숨겨져 있어야 할 철골과 배관을 밖으로 대놓고 꺼내놓은 것도 모자라 그 위에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을 입혔다. 어찌나 실험적이었던지, “미술관이 아니라 정유공장 같다” “내장이 튀어나온 것 같다” 등 날선 비판이 쏟아졌다.
하지만 건축계는 로저스의 작품을 높이 샀다. 그가 보여준 ‘실험정신’ 때문이었다. 그가 설계한 퐁피두센터를 보면 안과 밖이 뒤바뀐 듯하다. 보잘것없는 배관과 에스컬레이터를 밖으로 꺼내 미술관의 ‘시그니처’로 만들고, 그 대신 내부 공간을 오롯이 관람객이 쓸 수 있도록 했다.
배관과 에스컬레이터가 밖으로 나온 덕분에 관객들은 더 넓은 공간에서 쾌적하게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퐁피두센터가 하루 수용할 수 있는 관람객은 총 8000명. ‘대중에게 열린 미술관’이란 퐁피두센터의 취지와 딱 맞는 설계안이었다.
2020년 문을 연 여의도 파크원도 비슷하다. 모서리마다 강렬한 빨간색의 철골이 띠처럼 둘러져 있다. 파크원이 퐁피두센터처럼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던 이유다. 처음엔 “중국 자본이 투입돼 그 취향을 반영한 것” “(땅 주인인) 통일교 로고를 본떠 빨간색을 썼다”는 속설도 돌았다.
사실 로저스가 아이디어를 얻은 건 ‘단청’이었다. ‘붉은색의 단청이야말로 한국적 미를 가장 잘 나타낸다’는 게 그의 생각이었다. 건축 거장이 여의도 시민에게 남긴 파크원은 아쉽게도 그의 유작이 됐다. 이 파크원을 마지막으로 로저스는 2021년 12월 88세의 나이로 눈을 감았다.
온갖 욕을 다 먹으면서도 담대하게 로저스의 건축안을 채택한 퐁피두센터는 요즘 더현대서울 알트원에서 ‘기쁨의 화가’ 라울 뒤피 전시회를 열고 있다.
‘걷다가 예술’은 이렇게 일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작품들을 찾아갑니다. 기자 페이지를 구독하시면 연재기사를 놓치지 않고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