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최근 국내 기업 100곳의 ESG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국내 ESG 공시제도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ESG 공시 의무화 일정을 최소 1년 이상 연기하고, 일정 기간(2∼3년) 책임 면제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56.0%를 차지했다.
‘자산 2조원 이상 기업은 2025년, 나머지 상장사는 2030년부터 의무화하고 코스닥 기업은 제외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은 27.0%였다. ‘자산 1조원 이상 기업은 2027년부터로 앞당기고, 자산 5000억원 이상 코스닥 기업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은 14.0%였다.
대다수 기업은 ‘ESG 공시는 중요하다’(88.0%)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요한 이유로는 이해관계자에게 중요한 정보(46.6%), 투자의사 결정에 필요한 위험·기회 요인 파악(30.7%) 등을 꼽았다.
ESG 자율공시를 하고 있는 기업은 53.0%였으며 준비 중인 기업은 26.0%, 준비하지 않는 기업은 21.0%로 집계됐다. 현행 ESG 자율공시는 의무공시와 달리 공시 항목, 정보에 대한 책임 등에서 자유롭다.
ESG 자율공시 기업의 90.6%가 외부 전문기관을 활용하는 데 비해 내부 인력만으로 공시하는 곳은 9.4%에 그쳐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시를 위한 자체 ESG 전산시스템을 보유한 기업은 14.0%에 불과했다. ESG 공시에 투자하는 비용은 1억∼2억원(50.9%)이 가장 많았다. 2억원 이상은 28.3%였다.
협력사 등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온실가스 간접 배출량인 스코프 3 배출량 공시에 대해서도 기업은 여력이 부족하다고 입을 모았다. 절반 이상의 기업은 스코프 3 공시 의무화 일정을 늦춰야 한다(61.0%)고 답했다. 스코프 3를 공시하는 곳은 32.0%에 그쳤다.
기업들은 협력업체 데이터 측정·취합 어려움(63.0%)과 구체적인 세부 가이드라인 미비(60.0%)를 ESG 공시 관련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 꼽았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