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은 2019년부터 택배 상자에 잉크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바코드를 표기하기 시작했다. CJ대한통운이 지난 7월까지 잉크 분사 바코드를 통해 대체한 ‘코팅 라벨’ 수량은 약 6400만 개다. 가로·세로 각각 7㎝, 5㎝ 라벨의 넓이를 계산하면 총 44만8000㎡로, 축구장(7140㎡)의 약 63배 수준이다. 라벨 16개가 A4 용지 1장 크기고, A4 용지 1만 장 생산에 30년생 나무 한 그루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총 800그루의 30년생 나무를 살린 셈이라는 게 CJ대한통운 측의 설명이다.
CJ대한통운은 또 지난해 군포 풀필먼트에 도입한 빅데이터 패키징 기술도 올해부터 곤지암, 용인, 여주 등 총 5개 센터로 확대 적용했다. 빅데이터 패키징은 자체 분석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 주문에 최적화된 사이즈의 박스를 물류현장에 투입하는 것이다. 5개 센터의 평균 박스 크기가 19% 작아지는 효과를 거뒀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박스의 빈 공간에 넣는 완충재, 테이프 등 포장 부자재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이고 차량에 더 많은 박스를 실을 수 있다”며 “이중·삼중의 탄소 배출 절감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