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우리나라가 스마트폰과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조선 등 6개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해 3년 만에 일본과 공동 3위에 올랐다. 미국이 전체 조사대상의 3분의 1이 넘는 22개 분야에서 세계 1위에 오른 가운데 16개 분야를 석권한 중국의 추격이 매서웠다.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63개 분야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조사해 발표한 '2022년 주요상품·서비스 점유율 조사'에서 한국은 스마트폰, D램, 낸드플래시 반도체, OLED, 초박형TV(이상 삼성전자), 조선(현대중공업) 등 6개 품목에서 세계 1위에 올랐다.
한국의 주요 시장인 하이테크 분야에서 중국에 밀리며 4위로 내려앉은 지 3년 만에 다시 3위로 올라섰다. 지난해 중국에 밀린 조선에서 현대중공업이 2년 만에 1위를 되찾으며 '글로벌 넘버1' 분야를 6개로 늘렸다. 반면 일본은 자동차 반도체(마이콘) 분야에서 미국에 수위를 내주며 1위 분야가 6개로 줄었다.
일본은 자동차, 오토바이, 디지털카메라, 레이저 복합기, 이미지(CMOS)센서, 휴대폰용 리튬이온 배터리 등 6개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유지했다.
미국은 22개 분야, 중국은 16개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미국과 중국의 간격이 크게 좁혀진게 눈에 띈다. 70개 항목을 조사한 2021년에는 미국의 1위 분야가 24개, 중국은 12개로 두 배 차이가 났다.
한국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 합계가 각각 70.5%와 52.5%에 달하는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반도체 분야에서 1위를 굳건히 지켰다. 삼성전자(60.0%)와 LG디스플레이(20.2%)의 점유율이 80.2%에 달하는 OLED 분야도 한국의 절대적인 우위가 이어졌다.
한국 기업은 태블릿 단말기(삼성전자 2위), 대형 액정패널(LG디스플레이 3위), 휴대용 리튬이온 배터리(삼성SDI 2위·LG에너지솔루션 3위), 이미지센서(삼성전자 2위), 자동차(현대자동차 3위). 냉장고(삼성전자 3위), 차량용 리튬이온 배터리(LG에너지솔루션 3위), 편광판(삼성SDI 3위)에서도 3위 이내에 들었다.
하지만 1위인 미국 및 중국 기업과 격차는 점점 벌어지는 추세다. 한때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 시장을 석권했던 세탁기, 가정용 에어컨, 등 가전제품은 모두 중국에 시장을 빼앗겨 3위에도 들지 못했다. 한국이 2~3위를 차지하는 분야에서는 1위와 격차가 커 당분간 새로운 1위 분야가 등장하기 어려운 구도다.
반면 스마트폰에서 삼성전자와 2위 애플, 조선에서 현대중공업과 2위 CSSC의 차이는 각각 2.9%포인트에 불과했다. 언제든지 세계 1위 분야가 줄어들면서 4위로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미중 기술 패권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하이테크 분야에서 중국의 존재감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자동차와 첨단소재 등 18개 분야에서 중국 기업의 점유율이 높아졌다. 특히 전기차 분야에서는 BYD 등 중국 자동차 3사의 점유율이 27.7%로 1위 테슬라(18.9%)를 크게 앞섰다. 2위 BYD의 점유율은 11.5%로 1년 만에 4.6%포인트 뛰었다.
전기차의 필수 부품인 리튬이온 배터리의 중국 기업 점유율은 60%를 넘었다. 리튬이온 배터리에 사용되는 절연체는 상위 5위 가운데 4곳이 중국 기업으로 합계 점유율이 63%에 달했다. 미국의 견제로 중국은 16개 분야에서 점유율이 하락했다. 하지만 점유율이 가장 크게 하락한 분야의 하락폭이 4%포인트 정도에 불과해 타격이 크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글로벌 공급망을 재구축하는 과정에서 중국을 배제하기가 더 어려워 졌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피베트 구미코 PwC재팬 선임 매니저는 "리스크 분산을 위해 주요 시장마다 공급망을 다양화하는게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