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FnC는 몽골과 베트남에 섬유순환센터 설립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13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코오롱FnC의 자회사 케이오에이(KOA)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지난 12일 ‘몽골·베트남 서큘레이션 센터 구축사업’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서큘러 패션은 폐의류와 재고의류에서 섬유를 뽑아 다시 의류 소재로 만드는 것이다. 그동안 친환경 패션은 폐플라스틱에서 만든 섬유를 혼합한다거나 폐의류의 일부를 가공해 옷을 디자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돼왔다.
‘텍스타일 투 텍스타일’(Textile to Textile)이라 불리기도 하는 서큘러 패션은 기존 의류를 완전히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탄소 배출을 근본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폐의류 분류부터 재생 섬유을 뽑아내는 작업까지 세밀한 기술이 필요해 아직 보편화하지 못한 방식이다. 글로벌 브랜드 H&M가 폐의류를 활용한 서큘러 패션을 도입한 정도다.
국내에선 제주도 호텔의 침구나 수건을 목장갑으로 제작하는 등의 사례는 있었지만 대규모로 폐의류에서 실을 뽑아 다시 의류로 재생산하는 것은 국내 기업 중 첫 시도다.
우선 코오롱FnC는 케이오에이를 중심으로 몽골에 폐캐시미어의 재생을 위한 서큘레이션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 현지 조사를 진행 한 후 2024년 사업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케이오에이의 ‘르 캐시미어’ 브랜드는 몽골 산양에게서 저절로 빠지는 털만 걷어내 사용하는 동물 친화적 생산 방식으로 유명하다. 코오롱FnC는 지난해 6월 케이오에이 지분 100%를 인수했다.
몽골 뿐 아니라 베트남에도 서큘레이션 센터 건립이 추진된다. 베트남에는 캐시미어 외의 타 소재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패스트패션 브랜드가 성장하면서 의류 폐기물이 급격히 늘고 있다. 국내 통계에 잡힌 의류 폐기물만해도 한 해 10만t을 돌파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생활폐기물로 배출된 의류는 2021년 11만8386t으로 2020년 대비 43.6% 늘었다.
유동주 코오롱FnC ESG임팩트실 이사는 “현재 패션업계에 도입되는 폐플라스틱의 의류 소재화 역시 적지 않은 탄소발자국 증가로 이어진다”며 “폐의류가 다시 의류 소재화되는 서큘러 패션을 구축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