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한·미 동맹에 준하는 상호방위조약 체결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사우디 등과 함께 이란의 핵 문제를 비롯한 중동의 핵심 현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중동 내 영향력이 커진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다시 중동 지역에 적극 개입하는 형태로 선회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상대국 공격받으면 군사적 지원 약속"
뉴욕타임스(NYT)는 19일(현지시간) 미국 관리들을 인용, 미국과 사우디가 한·미 또는 미·일 간 군사동맹에 버금가는 상호방위조약을 맺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국과 사우디가 한·미 동맹 수준의 방위조약을 체결하면 상호 간 군사적 지원을 하게 된다. NYT는 "양국의 군사협력은 사우디와 이스라엘 간 관계 정상화를 지원하려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정책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로이터통신은 "사우디와 이스라엘이 평화협정을 체결하면 내년 대선에서 승리하려는 바이든 대통령의 외교 정책 승리로 남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사우디는 그동안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대가로 미국에 방위조약 체결과 원전을 건설할 수 있는 우라늄 농축 허용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2018년 사우디의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 이후 양국의 대화는 더이상 진전되지 않았다. 바이든 행정부가 카슈끄지의 암살 배후로 빈살만 왕세자를 지목하면서다. 바이든 행정부가 2021년 아프가니스탄 철수를 결정한 뒤엔 사우디 뿐 아니라 전체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급속도로 약화했다.
그러자 중국과 러시아가 그 틈을 파고들었다. 중국은 올해 초 사우디와 이란의 외교 관계 복원에 중재자로 나섰다. 러시아도 사우디와 원유 감산 보조를 맞추면서 협력을 강화했다.
이에 미국은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중동 지역 현안에 적극 관여하는 형태로 방향을 틀었다. 지난 5월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에 이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사우디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만났다.
이달 초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선 중국의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맞서기 위해 '인도·중동·유럽 경제회랑'(IMEC) 구상을 선보였다.
사우디와 이란 핵무기 문제 논의
미국은 사우디 등과 함께 중동 현안을 본격 논의하기 시작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에 참석해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외교장관, 압둘라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외교장관을 만났다.
이들은 예멘 내전을 가급적 신속하게 종식하고 예멘의 경제 위기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조치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전날 블링컨 장관은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 외교장관들과 회담했다. GCC는 사우디, 쿠웨이트, UAE, 카타르, 오만, 바레인 등 6개국의 지역협력기구다.
미국은 GCC와 함께 국방을 비롯한 역내 현안에 대한 집단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또 이란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조치에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이란의 무인기 등 위험한 무기 수출이 역내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는 점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란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이날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란 관련 현안을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은 앞서 17일엔 한국에 묶여있던 이란 자금을 풀어주고 이란과 수감자를 맞교환했다.
당시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은 "미국인 수감자 석방은 온전히 인도주의적 행동이며, 미래에 미국과 사이에 다른 인도적 행동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다만 라이시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 연설에선 "2015년 체결된 핵 합의를 복원하기 위해 미국이 선의와 의지를 증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