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실업률은 낮고, 물가상승률은 둔화하고, 실질 소득은 늘어나고 있다고 바이든 행정부는 주장한다. 모두가 걱정해 온 미국의 경기 침체는 아직도 가시화하지 않았다. 미 중앙은행(Fed)의 긴축(기준금리 인상)은 막바지에 접어들었고, 주택시장도 건재하다. 모든 게 장밋빛이다. 그런데도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 유권자 가운데 60%가량이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 정책을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경제 지표와 대중 정서 사이의 괴리를 당파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도 있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몇 년 동안 소비자 심리와 실제 경제 지표의 괴리가 커졌다고 짚었다. 이코노미스트는 1980~2020년 동안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와 경제 지표의 관계를 분석했다. 2020년 이후부터 경제 지표가 견조한데도 소비자 심리는 싸늘하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금리가 높을 때 경제와 관련한 대중의 심리가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18개월 동안 Fed가 기준금리를 5%포인트 인상한 게 미국인들의 심리에 직격탄을 날렸다. 그렇다면 바이든 대통령이 인기 없는 이유는 제롬 파월 Fed 의장이 (기준금리를 인상해) 모기지 금리를 올리고 있어서일까.
이 문제를 잘 설명할 수 있는 더 좋은 표현이 있다.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1992년 대선에서 내세운 유명한 캐치프레이즈인 ‘문제는 경제야, 이 바보야(It’s the economy, stupid!)’를 인용하자면 ‘문제는 인플레이션이야’다.
급격한 물가 상승은 경제심리에 악영향을 미친다. 소비 여력을 떨어뜨린다. 2020년 2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미국의 실질 주급 중간값은 7% 줄었다.
미국 민주당의 주장과는 달리 인플레이션은 여전하다. 1년 전보다 낮긴 하지만 아직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4% 이상이다. 대중 심리가 개선될 때까지 민주당과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은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다. 인플레이션이 최근 30년간 최고치 수준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낮은 지지율은 수수께끼가 아니라 합리적인 결과다.
이 글은 ‘Inflation Will Continue Until Morale Improves’를 한국경제신문이 번역한 것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