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패권>은 베이징사범대, 베이징대, 중국과학원, 옌볜과학기술대 등에서 활동했던 사회주의권 과학기술 전문가인 저자가 북한의 핵 개발 과정과 현재의 기술 수준, 북한 정권이 추구하는 핵전략을 냉철한 과학의 객관적 언어로 분석한 책이다. 정치적 해석 위주의 북한 핵 담론장에 ‘기초부터 확인하라’고 일침을 놓는다.
북한의 핵은 오랜 개발 역사를 지녔다. 북한이 1990년대 이후 ‘벼락치기’로 핵 개발에 뛰어들었다는 일반의 선입견과는 거리가 멀다. 북한의 핵 연구 인력들은 1956년 모스크바에 설립된 연합핵연구소(JINR)에 참여해 일찍부터 관련 기술을 확보했다. 1960년대에 이미 300명 넘게 인력을 파견하며 200여 명의 중국을 능가했다.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비서는 “북한의 본격적인 핵무기 개발은 1980년대부터 시작됐고 1990년대 초반에 성공했다”고 못 박았다. 마침내 2006년엔 풍계리에서 최초의 지하핵실험을 강행하며 세계에 충격을 줬다.
주목할 점은 북한이 감행하는 핵실험은 정치적 의도보다는 핵무기의 기술적 성능을 검증하고 개선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는 사실이다. 북한의 3~5차 핵실험은 핵탄두 소형화와 표준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었고, 4~6차 실험은 수소탄 개발과 연관됐다. 남북관계와 대미 전략은 북한에는 부차적인 문제에 불과했다.
같은 맥락에서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저자는 예상한다. 서방에선 시뮬레이션으로 핵실험을 대체할 수 있다며 ‘핵실험 도발’ 가능성을 작게 본다. 하지만 북한의 진짜 목적은 야포와 지뢰, 어뢰, 항공폭탄, 다탄두, 지대함미사일 등 차기 전술핵과 같은 높은 수준의 핵무기 다양화라며 ‘가상’이 아니라 ‘실습’을 택할 것이란 분석이다.
책은 전방위적으로 핵무기와 투발 수단을 신속하게 확장하는 북한의 사례를 냉정하게 짚는다. 하지만 건조한 과학의 언어, 사회주의권 핵 개발사에 대한 세세한 기술이 일반 대중이 접하기엔 버거운 측면도 적지 않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