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 실적 역시 크게 감소했다. 8월 누계 기준 전국 주택 착공은 11만3892가구로, 전년 동기(26만1193가구)와 비교하면 56.4% 감소했다. 인허가를 받고 실제 주택 건설을 시작한 현장은 더 줄어든 것이다. 특히 비아파트는 지난해 8월 누계 실적이 6만1914가구인 데 비해 올해는 2만7699가구에 그쳐 55.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주택 공급이 줄면서 분양과 준공 실적 역시 모두 감소세다. 올해 1~8월 전국 분양 가구는 9만4449가구로, 지난해(16만3714가구) 대비 42.3% 줄었다. 준공 역시 올해는 23만9059가구를 기록해 지난해(25만8669가구)보다 7.6% 감소했다. 일반적으로 사업 인허가 후 3년, 착공 후 2년 사이에 입주가 이뤄진다. 이대로면 3년 뒤엔 전국적인 ‘입주 절벽’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8월 기준 전국 9392가구로, 7월(9041가구)보다 3.9% 증가했다. 건설사가 신규 분양을 연기하고 할인 등 미분양 판촉 활동을 지속해 전체 미분양 물량은 1월 7만5000가구에서 지난달 6만1811가구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빨간불이 켜진 주택 공급 문제를 해소하려면 수요 진작으로 건설업계의 사업성을 회복해 공급 확대를 끌어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기존 아파트 거래가 활성화돼야 신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진다”며 “지금은 수요 제한으로 공급이 위축된 상황인 만큼 지방 미분양아파트 취득세나 양도소득세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단기간에 공급될 수 있는 오피스텔과 빌라 등 비아파트 활성화 대책이 보강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개발업체 대표는 “오피스텔은 분양도 잘 안되고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넘쳐나는 현실을 고려할 때 공급을 늘리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오피스텔을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방식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유오상/이인혁 기자 osy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