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서울교육청이 정규학교 설립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지역에 서울형 분교인 ‘도시형 캠퍼스’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새 돌파구를 찾게 됐다. 현재 관련 내용을 협의 중인 서울교육청과 서울주택도시공사는 학부모들의 의견을 반영해 도시형 캠퍼스 설립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몇 년 안에 ‘초품아’(초등학교 품은 아파트)로 거듭날 수 있게 된 셈이다.
서울교육청이 제시한 새로운 도시형 캠퍼스는 총 여섯 가지다. 크게는 개편형과 신설형으로 나뉜다. 개편형에는 먼저 ‘제2캠퍼스 학교’가 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소규모화가 심화한 학교가 대상이다. 본래대로라면 통폐합돼야 하지만 해당 지역에 거주 중인 소수 학생의 통학 여건을 고려해 통폐합 전 단계로 개편·운영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주교복합학교’다. 소규모화된 학교의 유휴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됐다. 학교 용지를 분할해 한쪽에는 학교를 개축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식이다.
신설형은 정규초등학교 허가를 받지 못한 재개발·재건축 단지나 통학 여건이 열악한 지역의 대안으로 마련했다. 신설형 ‘제2캠퍼스 학교’는 개발사업 지역에 이미 학교 용지를 확보한 경우 학생배치계획상 정규학교 설립은 어렵지만 도시형 캠퍼스 설립은 가능한 유형이다. 고덕강일3지구와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 △조합이 자체적으로 학교 용지를 확보해 기부채납(공공기여)하는 ‘주교복합학교’ △학교 인근의 오피스텔 및 상가 등을 사들여 활용하는 ‘매입형 학교’ △해당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공공시설을 무상양여나 영구사용허가를 받아 도시형캠퍼스로 설립하는 ‘공공시설복합 학교’도 가능하다.
동시에 일부 지역은 과대학교, 과밀학급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규모 재건축·재개발로 오히려 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초중고 중 과밀학급이 있는 학교는 지난해 142개에서 올해 196개로 늘어났다. 하지만 증가한 학생 수가 교육부의 학교 설립 심사조건에 미치지 못하면 정규학교 설립은 쉽지 않다.
조 교육감은 “과대·과밀학교, 원거리 통학 문제 등으로 서울 안에서 교육 환경의 차이가 생겼다”며 “인구 불균형 문제와 교육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시형 캠퍼스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