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여수산단 내 한화에너지, 구미1국가산단 내 GS E&R, 대전3·4산단 내 대전열병합이 LNG발전으로의 전환을 신청했다. 당초 여수산단에서 석탄발전을 하기로 돼 있던 묘도열병합도 LNG발전을 하게 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대전열병합과 묘도열병합은 2021년, 한화에너지는 올해 7월, GS E&R은 지난달 신청서를 냈다.
하지만 허가가 난 곳은 한 곳도 없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망 부족을 이유로 전환 신청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 수용 가능한 신규 LNG발전소 용량은 1.1GW에 불과한데 4개사가 신청한 LNG발전 설비용량은 500㎿씩 총 2GW에 달하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4개사의 석탄발전 설비용량은 총 430㎿지만 LNG발전으로 기존 석탄발전과 동일한 양의 열과 전기를 생산하려면 설비용량이 4~5배 더 커져야 한다.
석탄발전을 LNG발전으로 전환하려는 에너지사업자는 이들 4개사뿐만이 아니다. 업계에서는 추가로 10개 이상 업체가 LNG발전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NG발전 전환이 안 되면 에너지사업자는 석탄발전을 계속하면서 탄소배출권 구입을 늘릴 수밖에 없고 결국 이 비용을 산단 내 기업에 판매하는 열에너지 가격에 전가할 수밖에 없다. 이는 산단 입주기업의 부담으로 이어진다.
"2031년 배출권거래제 강화 땐 영업이익 30% 줄어들 수도"
하지만 전력망 부족 등의 이유로 인허가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수용 가능한 LNG발전 용량은 1.1GW인데 집단에너지사업자의 석탄발전을 모두 LNG발전으로 돌리려면 최소 7GW의 LNG 설비용량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전력수급계획을 세우는 입장에서 급격한 발전량 증가가 전력망에 부담이 된다는 의견이 있다”며 “고민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력망을 획기적으로 늘리지 않으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여건인 것이다.
집단에너지사업자와 산단 기업들은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 정부 기조에 따라 연료 전환 계획을 세웠는데 막상 현실에선 정부 때문에 가로막혔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2020년 발표한 제5차 집단에너지공급기본계획에서 “집단에너지의 LNG 전환과 조속한 인허가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올해 4월 발표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에도 산단 집단에너지사업자의 연료 전환(석탄→LNG)을 명시했다.
기업들도 비상이다. 산단 입주 기업들은 현재 국내 산업 부문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80%가량을 차지한다. 정부의 탄소 감축 계획에 맞추려면 탄소 배출이 적은 LNG발전이 유리하다. 게다가 유럽연합(EU)이 2026년부터 수입품의 탄소 배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일종의 페널티를 물리는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시행하기로 하는 등 세계적으로 환경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다.
국내 규제도 강화되는 추세다. 한 국가산단에 입주한 섬유제조업체의 경우 국내 배출권거래제 5차 계획 기간(2031~2035년)에 석탄연료 사용에 따른 배출권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지금보다 3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 산단 입주업체 관계자는 “산단 기업들도 에너지 전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며 “LNG 열 공급이 늦어지면 자체적으로 보일러를 설치해야 할 판국”이라고 했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