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서부 도시 쾰른에 거주하는 30대 김모씨도 마찬가지다. 독일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김씨지만 독일식 관료주의엔 적응하기 어렵다고 토로한다. 김씨는 최근 비자 연장을 위해 쾰른 외국인청에 관련 서류를 제출했지만 “당장 심사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 기존에 살던 독일 도시에 제출한 문서가 쾰른으로 넘어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김씨는 “디지털화가 잘돼 있는 한국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독일 유학생을 위한 SNS에도 김씨와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는 게시글이 많다. “이사한 도시로 서류가 이관되던 중 분실돼 비자 처리하는 데 6개월이 걸렸다” “이전 동네에 서류 이관 요청을 여섯 번이나 했는데 보내주질 않아 비자를 못 받고 있다” 등의 내용이 잇따른다. 김씨는 “비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호사를 구하는 사람도 있다”며 “디지털화가 더딘 것도 문제지만 관청 직원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움직이지 않고 규정 뒤에 숨어 있는 게 더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최근 독일에선 기차 연착도 잦아지며 일상생활에서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독일 국영 철도회사 도이체반(DB)에 따르면 올 상반기 장거리 열차의 정시율은 68.7%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떨어졌다. 열차의 약 30%가 제시간에 도착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프랑크푸르트에 살고 있는 이모씨는 “철도 인프라 노후화로 열차 고장이 잦다”며 “열차가 아예 취소돼 다른 유럽 국가로 환승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프랑크푸르트=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