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이 미 국채 금리 급등 현상에 대해 "미국 경제의 강세를 반영한 것"이라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시장에서 재정적자로 인한 부채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정면으로 반박한 발언이다.
이날 블룸버그에 따르면 옐런 장관은 블룸버그 워싱턴 포럼에서 "미국의 재정적자와 국채 금리 급등 사이에 큰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는다"며 "대부분 선진국에서 국채 금리가 치솟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채 금리가 상승하는 현상은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덧붙였다. 재정 적자로 국가 부채 발행이 예상되면서 금리가 치솟았다는 주장을 부인한 것이다.
옐런 장관이 경제 회복을 언급한 배경엔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있다. 이날 옐런 장관이 발언하기 2시간 전 미 상무부는 올 3분기 GDP 증가율이 4.9%라고 발표했다. 전분기 증가율(2.1%)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2021년 4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성장세를 이끈 것은 소비 시장이었다. 3분기 소비자 지출은 4% 증가해 전 분기(0.8%)에 비해 큰 폭으로 확대됐다. 통화 긴축 정책이 이어지면서 하반기 소비가 둔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실제 지표는 소비가 더 늘었음을 보여줬다. 옐런 장관도 이 지표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옐런 장관은 "미국 경제는 계속해서 견고한 모습을 보인다"며 "이는 금리가 장기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지난 19일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도 인플레이션 재발을 우려하며 미국 경제 성장세를 언급한 바 있다. 파월 의장은 "경제 성장세가 예상외로 호조를 보인다"며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려면 과열된 경기가 다소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파월 의장은 "국채 금리가 치솟은 것은 단순히 경기 호조로만 해석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잠재적으로 중립금리(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 없이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금리 수준)가 평균값으로 수렴하게 하는 기간 프리미엄(만기가 긴 채권에 추가로 요구되는 금리 수준)이 작용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옐런과 달리 국채 금리 상승 요인을 복합적으로 분석한 셈이다.
시장에서는 여전히 연방 정부의 재정 적자가 국채 금리 급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국채 시장의 우려를 증폭시켰다. 재무부가 국채 공급량을 늘려 채권 가치 하락(금리 상승) 폭을 더 키울 것이란 관측이다.
이날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연 4.8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 재무부는 다음 주 내로 국채 발행 계획을 재조정할 예정이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