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에도 서로 다른 두 개의 우주가 있다. 하나는 에너지 넘치는 붓글씨의 세계, 다른 하나는 섬세하고 정교한 펜글씨의 세계다. 전자가 국악(한국음악)이라면, 후자는 양악(클래식)이다.
지휘자 김성진(68)은 평행우주처럼 다른 이 두 세계의 경계에 닿아 있는 인물이다. 클래식 작곡·지휘를 전공했지만 한국음악을 지휘하며 양쪽 세계를 넘나들었다. 서양 오케스트라로 한국 전통음악을 연주하는 식이다. 지난 5년간 국립극장 예술감독을 지내고 올해 3월 퇴임한 그는 최근 저서 <경계에 서>에 자신의 예술 인생을 담았다. 지난달 23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 사옥에서 만난 그와 두 음악 세계를 넘나들었던 삶과 음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클래식으로 미국 유학까지 다녀온 그는 어쩌다 ‘한국음악 세계화’의 선봉장이 됐을까. 결정적 전환점은 1998년이었다. 귀국 직후 일자리를 찾던 그는 용인대에 지휘법 강의를 나갔다. 당시 수강생이던 정대석 거문고 명인이 물었다. “국악도 지휘할 수 있느냐”고. 그는 망설임 없이 답했다. “악보만 있으면 할 수 있습니다.”
김 지휘자는 “그 질문을 받자 갑자기 뉴욕시립대에서 만난 스승 모리스 페레스의 가르침, ‘악보에 항상 답이 있다’는 말이 떠올랐다”고 했다. 그렇게 그는 1998년 KBS 국악관현악단 객원 지휘자로 무대에 서며 한국음악에 빠지게 됐다.
그는 국악관현악단을 이끌고 이상규의 ‘대바람소리’를 지휘했다. 서양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듯 악기 간 조화, 박자 및 셈여림 등을 다듬어가며 정교함을 더했다. 이른 아침 나팔꽃에 맺힌 이슬 두 방울, 거센 바람에 뿌리째 흔들리는 대나무들…. 구체적인 연주법보다 한국적 정서를 소리로 구현하는 것에 집중했다. 클래식 지휘자가 국악을 지휘하자 색다른 음악이 나왔다. 국악계에서는 “이색적이다”는 평가가 쏟아졌다.
“어린 시절을 전북 정읍 시골에서 보내서 그 풍경을 잘 알아요. 고향에 대나무밭이 있었거든요. 대나무는 바람이 불면 뿌리가 통째로 뽑힐 것처럼 흔들려요. 그런 바람과 풍경을 설명하며 단원들과 음악을 만들어갔어요. 제가 국악기를 몰라도 우리 정서를 아니까 (제 말이) 연주자들에게 와 닿았던 거죠.”
“서양 음악은 펜글씨처럼 간결하고 깔끔해요. 아주 촘촘하게 많이 써야 하죠. 반면 국악은 한 번에 획을 ‘확’ 그어야 합니다. 큰 에너지를 한 번에 쏟아내는 거죠. 우리는 한국인이니까 아무리 펜글씨가 익숙해도 붓글씨 쓰는 법을 몸으로 압니다. 그걸 잘 조합하면 성공할 수 있다고 믿었어요.”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었다. 다들 ‘클래식과 한국음악은 연주법도, 구조도 딴판인 다른 세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니 두 세상을 하나로 접목하려는 김성진을 클래식계도, 국악계도 반기지 않았다.
“서양의 클래식 음악은 사실상 소재가 바닥났어요. 한국 음악은 이제 시작이에요. 소재가 무궁무진합니다. 이걸 잘 발굴해서 가꾸면 세계에서 통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런 게 바로 ‘K클래식’ 아닌가요.”
지난 20여 년간 클래식과 국악의 경계에 서서 경계 밖을 바라본 그는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이제 원대한 목표를 세우고, 그걸 달성하기 위해 아등바등할 때는 지난 것 같습니다. 비유하자면 ‘에베레스트산 정복’은 더 이상 저의 프로젝트에 없습니다. 당장 열매를 맺지 못해도 씨를 뿌리는 일을 하려고요. 좋은 작곡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국악 대중화와 세계화의 실마리가 될 수 있는 프로젝트를 할 겁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