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결특위는 3일 ‘2024년도 예산안 검토보고서에서 “국가채무의 절대적인 수준보다는 증가 속도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2021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일반정부부채 비중은 53.8%로 프랑스(113.0%) 영국(105.2%) 독일(69.0%) 등 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한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51.0%로 전망된다. 예결특위는 이 같은 수치를 근거로 한 일각의 확장재정 주장을 소개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한국의 국가채무 증가 속도는 주요 선진국보다 빠르다는 게 예결특위의 지적이다. 한국의 국가채무는 2013년 489조8000억원에서 2022년 1067조4000억원으로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32.6%에서 49.4%로 급등했다. 예결특위는 “저출산·고령화가 심화하면 생산성은 감소하는 반면 국민연금 등 복지 지출은 크게 증가해 국가채무 증가가 더 가속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예결특위 전체회의에서 “그동안 빚이 급속도로 늘어 방만하게 재정을 운용하면 국가 부채가 너무 커지고 대외 신인도, 물가 안정에 문제가 된다”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확장재정 요구를 거듭 일축했다. 추 부총리는 삭감된 연구개발(R&D) 예산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학계 의견을 들어 필요한 부분은 대거 증액하겠다”고 밝혔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