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호주 vs 한국·일본' 인플레이션 '극과 극', 왜?

입력 2023-11-13 15:49   수정 2023-11-13 15:5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주요 서방 선진국들 가운데 호주와 영국 등 영미권 국가들의 인플레이션이 유독 심한 반면, 한국 일본은 물가 오름폭이 덜한 것으로 분석됐다.

12일(현지시간)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근원(core)인플레이션, 단위 노동 비용, 인플레이션 분산, 인플레이션 기대치, 구글 검색 행태 등 다섯 가지 지표를 활용해 '인플레이션 고착화'(inflation entrenchment) 점수를 산출해 이 같이 보도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캐나다 이탈리아 스페인 한국 일본 등 10개국을 대상으로 각 지표별로 국가의 순위를 매긴 다음, 순위를 합산하여 점수를 산출한 결과 1위는 호주, 2위는 영국, 3위는 독일이 차지했다. 반면 한국과 일본은 9위와 10위에 나란히 올랐다.
영국과 영국식민지 출신국, 최악 인플레
이코노미스트는 영어를 제 1언어로 사용하는 영미권 국가들이 집중적으로 상위권에 오른 사실을 강조했다. 상위 다섯개 국가 가운데 러시아산 가스 파이프라인이 끊기면서 가스값 폭탄을 맞은 독일을 제외한 나머지 네 개 국가가 영어 사용국이다. 호주 영국 독일에 이어 캐나다와 미국이 5위권에 들었다.

인플레이션 고착화가 가장 심한 것으로 평가되는 호주는 1년 전에 비해 소비자물가가 5.1%나 올랐고, 향후 12개월간 물가 상승 폭은 5.2% 가량으로 예상된다. 인건비 상승폭은 지난 1년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7.1%에 달했다. 영국은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2%로 호주보다 높았으나, 향후 상승 전망이 3%로 다소 낮았다. 캐나다는 내년 소비자물가가 5.7%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캐나다인은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용어를 가장 자주 검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2020~2021년 영미권 국가들의 재정 부양책 규모가 비교 대상 선진국들보다 평균 40% 가량 컸다는 것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게다가 기업을 살리기 위한 조치 등 간접적인 지원보다 가계에 지원금을 주는 등 직접 지원에 더 초점을 맞춘 것도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 꼽힌다. 로버트 바로 하버드대 교수와 프란체스코 비앙키 존스 홉킨스대 교수는 논문을 통해 팬데믹 기간 재정 확대와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 사이 연관성을 입증했다.

통화 정책도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가 발생했을 때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의 중앙은행은 나머지 국가들보다 평균 1%포인트 더 금리를 인하했다. 다른 주요 선진국에 비해 두 배 가량 큰 인하 폭이다. 지난 1년여 동안 영어권 국가에 많은 이민자가 유입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신규 이민자들의 주택 수요가 임대료를 상승시켜 단기적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골드만삭스의 추정에 따르면 현재 호주의 연간 순 이민자 수는 50만 명에 달하며, 이들이 물가를 연간 약 0.5%포인트 상승시키고 있다.

일본인들 "장기 저성장으로 물가 상승에 익숙하지 않다"
이코노미스트는 반면 "아시아의 짧은 고인플레이션 경험은 곧 끝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일본의 내년 물가 상승률은 약 1.5%에 그칠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인은 인터넷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수준으로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 이전에는 아시아 부유한 국가들이 오랫동안 낮은 인플레이션을 유지해왔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자연스러운 현상처럼 보였을 수도 있다"며 "2021~2022년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뒤 기업과 가계의 행동이 디스인플레이션 방향으로 더 빠르게 전환되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2008년, 2011년, 2017년에 물가 급등을 경험한 영국과는 다르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코노미스트는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는 에너지 가격 상승이 다른 국가에 비해 급격하지 않았고, 이에 대해 "정책과 행운의 조합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프랑스에 대해선 경제가 더 나은 상황이며 영미권 국가와 아시아 국가의 중간 정도 상황에 처했다고 지적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