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무디스의 경고장을 보면 우리도 허투루 들을 수 없는 내용들이다. 한국도 똑같이 당면한 문제를 조목조목 짚었다. 미국 신용등급에 가장 큰 위협 요소로 꼽은 재정적자가 그렇다. 재정적자, 국가채무 확대에 따른 우려는 우리가 미국보다 심하면 심했지 절대 덜하지 않다. 우리 정부의 올해 재정적자 규모는 지난 9월 말 현재 70조원에 달한다. 연간 전망치를 벌써 12조원 초과했다. 이대로라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적자 비중이 정부 관리 목표인 3%를 훌쩍 넘는다. 내년에 4%대에 달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의 재정적자가 GDP의 6.3% 수준인 점에 비춰보면 언뜻 우리가 사정이 나아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원화는 기축통화가 아닌 데다 나랏빚의 증가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2016년 이후 7년간 미국 국가부채가 33% 증가하는 동안 우리는 86% 늘었다. 590조원이던 나랏빚은 지난 정부를 거치면서 1100조원이 됐다.
무디스가 미국에 신용등급 하락을 경고한 또 다른 이유는 ‘정치 양극화’다. 양당의 갈등 때문에 빚을 줄이려는 정부 계획이 수포가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 대목에 관해서도 우리나라 정치권은 할 말이 없는 상황이다. 국가 재정을 엄격히 관리하자는 내용의 재정준칙만 해도 그렇다. 국회에 올라가 있지만 정쟁에 밀려 1년 넘게 묶여 있다가 결국 좌초될 판이다. 이 와중에 거야(巨野)는 나라 곳간을 더 열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한국 경제는 높은 대외 의존도와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국가 신용등급 하락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미국보다 클 수밖에 없다. 정부와 국회는 무디스의 경고를 엄중히 새겨들어야 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