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는 지난달 20일 오픈AI에서 해임된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와 오픈AI의 핵심 연구인력 3~4명이 마이크로소프트(MS)에 합류한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이같이 평가했다. 이들의 노하우에 MS의 엔지니어링 인프라를 결합하면 ‘새로운 오픈AI’가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픈AI가 작년 11월 말 내놓은 챗GPT는 ‘생성 인공지능(AI) 혁명’을 일으켰다. 그동안 AI 분야를 선도해온 구글이 아니라 오픈AI가 혁신의 중심에 섰다. 이 회사는 챗GPT 출시 후 1년 만에 기업가치 860억달러(약 111조원) 규모의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에 대해 실리콘밸리 AI 전문가들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평가한다.
최근 실리콘밸리를 강타한 구조조정의 칼바람 속에서도 S급 인재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지난 10월 구글의 차세대 대규모언어모델(LLM) ‘제미니’ 개발팀 리더인 지아후이 유를 영입하기도 한 오픈AI는 최근 구글 AI 분야 임원들을 상대로 1000만달러 규모의 급여 패키지를 제안했다. 실리콘밸리에 인재가 차고 넘쳐도, S급 인재에 대한 갈증은 여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는 지난 7월 출범 후 4개월 만인 지난달 챗봇 ‘그록’을 내놨다. 단기간에 챗봇을 개발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구글 딥마인드, MS, 테슬라, 오픈AI를 거친 인재들이 있었다. 구글 딥마인드 엔지니어 출신인 이고르 바부슈킨과 MS 출신 그렉 양, ‘AI 4대 구루’ 중 한 명인 제프리 힌턴 토론토대 교수의 제자 지미 바 조교수 등이다.
실리콘밸리 AI 인재들은 빅테크와 스타트업을 휘젓고 다닌다. 인재 확보 여부에 따라 기업 경쟁력도 판가름 난다. AI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인재를 확보한 기업의 ‘승자독식’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이다. 실리콘밸리의 치열한 인재 전쟁에서 국내 IT 기업은 보이지 않는다. 한국이 AI 기술 경쟁의 최전선에서 점점 멀어지는 건 아닌지 걱정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