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번이나 되물었다. 머릿속으로 짐작했던 수치와 너무 달랐기 때문이다. ‘설마 그 정도일까’란 의심은 스마트폰으로 관련 자료를 확인한 뒤에야 거둘 수 있었다.
7만5324개. 작년 기준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출판사 수다. 2012년 4만2157개에서 매년 3000~4000개씩 더해졌으니, 지금 세어 보면 8만 개에 육박할 수도 있겠다.
많아도 너무 많다. 5조~6조원 시장에 이렇게 많은 ‘선수’가 뛰는 산업이 대한민국에 또 있을까. 이 중 상당수가 1인 출판사라고 해도 말이다. 출판시장이 쪼그라드는 걸 감안하면 이 숫자를 이해할 길은 더 멀어진다. 지난해 상위 77개 출판사 매출은 5조1081억원으로, 10년 전(2012년 5조6576억원)보다 10% 줄었다.
인공지능(AI)이다 빅데이터다 세상은 팽팽 돌아가는데, ‘피터팬’처럼 작은 몸집으로 미래 투자를 어떻게 감당할지 걱정이 앞선다. 덩치도 키우고 수익성도 끌어올려야 할 텐데, 의미 있는 인수합병(M&A)이나 그럴듯한 신사업에 뛰어들었다는 출판사는 들어보지 못했다. 굳이 리스크를 안고 도전했다가 큰 낭패를 보느니 빡빡하지만 지금 살림을 유지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건지….
누군가 “다양성을 추구하는 출판업계의 문법은 생산성을 중시하는 일반 기업과 다르다”는 말로 이 현상을 설명해줬다. 하지만 세계 최대 출판사인 펭귄랜덤하우스(PRH)를 보면 꼭 그런 것 같지는 않다. 2013년 영국 펭귄북스와 독일 랜덤하우스의 합병으로 태어난 이 회사 매출은 ‘결혼’ 첫해 26억유로(약 3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42억유로(약 6조원)로 61% 늘었다. 성장동력은 M&A와 신사업이다. 올해 들어서만 출판사 2~3곳과 오디오북 업체를 사들이며 종이책을 넘어 ‘콘텐츠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다.
따지고 보면 문화는 반도체만큼이나 우리가 잘할 수 있는 산업이다. ‘영어를 안 써서 안 된다’ ‘변방이라 안 된다’는 온갖 우려를 이겨내고 세계 대중문화의 중심이 된 K팝과 K드라마가 그 가능성을 보여줬다. ‘K문학’이 그 바통을 못 이을 이유가 없다. 그러려면 혁신의 주체가 돼야 할 출판사들부터 강해져야 한다. K팝과 K드라마 열풍 뒤에 하이브와 CJ가 있는 것처럼.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