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에 가장 어울리는 장소가 어디일까. 여러 공간을 거친 생각의 끝이 명동성당에 가 닿았다. 어린 시절에 열심히 다녔던 성당이라는 공간을 지금 반추해보면 그곳은 연말에 크리스마스와 함께 가장 화려하고 특별한 장소가 되는 곳이었다. 그때의 기억이 아직도 무의식에 남아 연말이라는 시간과 성당이라는 공간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명동성당은 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좌성당으로, 이름 그대로 중구 명동에 자리하고 있다. 성당의 신자들은 기본적으로 자신이 속한 교구의 성당에서 미사를 드리지만 명동성당은 한국 천주교회를 상징하는 그 대표성으로 인해 다른 교구에서 미사를 보러 온 신자들뿐 아니라 성당을 구경하는 것 자체가 목적인 외부인의 방문이 활발한 곳이다. 필자 역시 명동성당에서 종종 미사를 드렸고, 마음이 심란할 때는 그냥 가서 앉아만 있기도 했었다.
1898년 완공돼 120년 넘게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이 성당은 건축사적으로도 중요하다. 고딕양식으로 지어진 대규모 건축물이 우리나라에 처음 구현된 사례여서다. 특정한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들은 설계를 위한 그 양식만의 문법 같은 것을 가지는데 명동성당 역시 고딕양식의 문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성당의 평면은 라틴십자형의 삼랑식 평면이다. 신자들이 미사를 드리기 위해 자리하는 곳은 중앙 회랑과 양옆의 측랑. 이 공간을 지나 본당 안쪽으로 들어가면 삼랑을 이루던 공간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인 ‘트란셉트(Transept)’가 나타난다. 이보다 안쪽, 본당의 가장 깊은 곳에 제단이 있는 ‘앱스’가 위치하는데, 입면의 체계는 세 개의 층을 가진다.
고딕 성당에서 형태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하늘로 치솟는 듯한 수직성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중앙이 뾰족한 아치인 ‘첨두아치’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리브볼트’다. 그리고 이들을 지탱하는 높은 기둥 사이에 성당 안으로 빛을 유입시키는 창이 형성되고, 여기에 형형색색의 스테인드글라스가 설치되면 고딕양식의 성당이 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이런 고딕양식의 건축물이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기둥다발, 첨두아치, 리브볼트 등 건물의 역학적 구조에 관여하는 요소들이 그 자체로 공간의 예술성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명동성당은 건물 축조에 벽돌을 사용해 이런 형식을 구현했지만, 고딕양식의 건물에 주로 사용된 주요 재료는 석재다. 정교하고 촘촘한 석공 기술로 조각된 돌들이 만들어낸 구조와 장식들이 집대성된 공간은 그 자체가 마치 하나의 조각과도 같아 보인다.
명동성당은 고딕의 극치를 이뤄낸 것으로 알려진 성당들보다 장식적인 면은 덜한 편이지만 어린 시절의 필자가 명동성당 안에 들어갔을 때 처음 느꼈던 웅장함과 화려함은 가히 압도적이었다. 늘어선 기둥다발이 만들어내는 웅장함, 창문의 패턴과 뾰족한 아치들이 크기를 달리하며 만들어내는 리듬감, 천장의 리브들이 가진 연속성이 모두 합쳐진 그 역동성 속에서 공간이 마치 거대한 레이스처럼 화려하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남아있다. 그래서 대학에서 처음 서양 건축사를 배우며 ‘고딕(gothic)’이라는 단어가 야만스러운 고트족을 칭하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을 때 납득하기 어려웠다.
명동성당은 우리나라 천주교 성장의 구심점이자 민주화의 성지, 시민사회 성숙을 위한 공간 등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특별하게 존재해왔다. 필자에게는 심리적인 안정을 주는 것뿐 아니라 상상력이 뛰어놀 수 있게 한 특별한 공간으로 기억된다. 어떠한 공간도 모두에게 똑같은 공간으로 기억될 수 없으니, 한 해의 마지막을 앞두고 있는 지금 나에게 특별한 공간은 어디였는지 생각해보는 건 어떨까. 시간이 지나 그곳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새롭게 발견할 기회가 될지도 모르겠다.
배세연 한양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조교수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