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세의 미국 필라델피아 공연이 있던 지난해 7월에는 공연 1주일 전에 도시 전체의 호텔과 여행정보를 찾는 사람이 21% 증가했고 쇼핑은 10%, 식당을 예약하는 손님은 3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 가수들의 손톱과 비슷한 형태로 손질하려는 팬들 덕에 네일숍들은 무려 170%가 넘는 호황을 누리기도 했다. 미국 뉴욕과 로스앤젤레스(LA) 등도 도시 전체가 공연을 보러 온 팬들의 소비로 인해 한동안 크게 출렁인 바 있다. ‘팬 경제(fan economy)가 돌아왔다’고 환호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팬 경제는 한류의 현재와 미래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BTS 멤버 전원이 군 복무로 인해 잠시 활동을 중단했으나 K팝 가수들의 전 세계 공연이 이어지고 있고, 아이돌 공연이 열리는 도시의 경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블랙핑크가 지난해 7월 영국 런던 하이드 파크에서 공연한 것을 시작으로 트와이스, 에스파, 있지 등이 런던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여성 K팝 그룹들이 영국을 점령했다’는 기사를 게재할 정도의 인기몰이를 했다. 가디언은 한국의 여성 K팝 그룹은 패션과 소셜미디어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팬 경제는 연예인과 운동선수 등의 팬들이 스타의 공연이나 경기와 관련된 것에 주머니를 여는 시장을 의미했다. 팬 경제는 그러나 최근 들어 플랫폼 테크놀로지의 성장과 함께 플랫폼 기업들이 자기 자신들의 브랜드를 전파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도 여겨지고 있다. 소셜미디어가 팬 커뮤니티를 만들어 발전시킴으로써 입소문을 통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인 팬들은 소셜미디어의 팬클럽 등을 통해 파워집단을 형성, 자신들이 선호하는 음악과 장르 선택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고, 음악과 여타 문화산업의 생태계를 변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전 세계 한류 팬 수는 무려 1억7800만 명에 달한다. 한국 인구의 3.3배가 넘는 인구가 한류 팬으로 2012년 928만 명에 비해 무려 19배 늘어났다. 2020년대 들어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게 된 요인은 글로벌 영상 콘텐츠 플랫폼을 통한 한류 콘텐츠 전파와 온·오프라인 활동을 주도하는 한류 팬 증가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K팝뿐만 아니라 K드라마, K웹툰, 그리고 K영화 등 다양한 장르의 한류 콘텐츠 팬덤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플랫폼 테크놀로지의 성장과 함께 생산자와 소비자가 새로운 한류 소비 형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팬심’이 해당 콘텐츠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것이다.
팬 경제는 결국 플랫폼 테크놀로지, 온라인 팬덤, 그리고 오프라인 팬덤이 함께 움직이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팬 경제는 플랫폼 기업과 팬들 간 상호작용 속에서 발전하고 있다는 말이다. 한류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한류 콘텐츠 소비자인 팬들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지 고민해야 한다. 소비자 친화적인 정부 정책과 콘텐츠 기업들의 비즈니스 정신, 그리고 제대로 된 플랫폼을 제공할 때 한류의 성장은 지속될 수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