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2%로 제시했다. 1.4%의 성장률을 기록한 지난해 ‘저성장 수렁’에선 벗어나지만 경기가 확연히 좋아진다고 보기엔 부족한 수치다. 부진했던 수출이 되살아나지만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내수 경기가 얼어 붙으며 만만찮은 한 해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4일 발표한 ‘2024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작년 7월 2.4% 대비 0.2%포인트 낮춘 2.2%로 조정했다. 김병환 기재부 1차관은 “수출은 예상 궤도 내에서 회복세를 타고 있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소비가 예상보다 힘을 못 내고 있고 건설투자가 올해 ‘마이너스(감소)’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2%의 성장률은 국내외 주요 기관이 최근 내놓은 전망과 비교하면 중간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2.1%를, 경제개발협력기구(OECD)는 2.3%를 제시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국제통화기금(IMF)은 기재부와 같이 우리 경제가 올해 2.2% 성장할 것이라 내다봤다. 몇몇 기관이 1%후반대 성장률을 예측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2%초반에 수렴하는 분위기다.
기재부는 한국의 성장 동력인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등하면서 경기 회복을 이끌 것으로 보고 있다. 수출은 8.5% 개선되는 반면 수입 증가율은 원자재 가격 안정화로 4.0%에 그치면서 수출에서 수입을 뺀 상품수지 흑자 폭이 지난해 310억달러에서 550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했다. 해외 여행 증가로 서비스 수지는 50억달러 적자를 기록하지만, 전체 경상수지는 500억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전년(310억달러)대비 60%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하지만 고금리 여파로 내수가 둔화하면서 소비와 투자는 부진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했다. 민간 소비는 지난해에 이어 1.8%의 낮은 성장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제기되는 건설 투자는 1.2% 감소할 것으로 봤다. 설비투자는 전년 대비 3.0% 늘긴 하지만, 2022년과 2023년 각각 0.9%, 0.2% 역성장한 것의 기저효과가 크다.
취업자 증가 폭도 지난해 32만명에서 올해 23만명으로 줄어든다. 정부가 올해 늘리기로 한 노인 직접일자리만 14만7000개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민간이 주도로 만들어내는 일자리 수는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인플레이션은 크게 진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재부는 2022년 5.1%로 고점을 찍고 지난해 3.6%로 떨어진 물가 상승률이 올해 2.6%로 추가 하락할 것으로 봤다. 물가상승률이 2%대로 떨어지는 것은 2021년(2.5%) 이후 3년 만이다. 하지만 이 역시 안정적인 대외 여건이 유지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기재부는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으로 물가 상승률이 상당폭 둔화될 전망이나 상반기까진 3% 내외 수준이 지속될 것”이라며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있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