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과 현대자동차의 협력 관계가 갈수록 단단해지고 있다. 삼성이 만든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배터리를 현대차·기아 차량에 장착하는 ‘하드웨어 협력’을 넘어 두 회사의 핵심 서비스를 공유하는 ‘소프트웨어 동맹’으로 확대돼서다.
삼성전자의 가전 관리 앱인 ‘스마트싱스’로 현대차·기아 차량을 제어하고, 현대차 엔포테인먼트로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내용의 플랫폼 협업에 나서기로 한 것. 산업계에선 미래 자동차 시장 공략을 위한 ‘환상의 복식조’가 구성됐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홈투카·카투홈 서비스는 쉽게 말해 차에서 집에 있는 가전기기를 관리하고, 반대로 스마트폰으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예컨대 집에서 스마트폰에 내장된 스마트싱스로 차량의 시동을 켜거나 끌 수 있고 전기차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차에 장착된 인포테인먼트로 집에 있는 TV와 에어컨을 작동할 수 있다.
수많은 가전기기와 자동차를 스마트폰 하나로 관리할 수 있다는 얘기다. 예컨대 스마트싱스 앱을 ‘기상 모드’로 설정하면 스마트폰 알람이 울리는 것과 동시에 집 조명·TV가 켜지고, 자동차는 출근 시간에 맞춰 적정 온도를 맞춘다. 홈투카·카투홈 서비스로 가전과 차량의 에너지 사용량도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다.
삼성과 현대차의 ‘브로맨스’는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오히려 두 그룹은 한국 재계를 대표하는 자리를 놓고 다투는 라이벌 관계였다. 신경전은 삼성이 자동차산업에 뛰어든 1995년 극에 달했다.
하지만 2020년부터 두 그룹은 앙금을 털고 ‘미래차 파트너’로서의 밑그림을 그렸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그해 5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만나 사업을 논의한 게 시작이었다. 삼성·현대차그룹의 총수가 파트너십을 위해 배석자 없이 만난 건 전례 없는 일이었다. 정보기술(IT) 부품과 배터리가 핵심인 전기차는 삼성과 현대차 모두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은 분야다. 세계 최고 수준의 IT 및 배터리 기업인 삼성은 현대차와 손잡으면 안정적인 수요를 확보할 수 있고, 반대로 현대차는 삼성으로부터 성능 좋은 부품을 납품받을 수 있다.
업계에선 “두 그룹의 협업 범위가 소프트웨어 기반 전기차(SDV)로 넓어질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는다.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사업부가 테슬라의 자율주행 칩을 생산하는 등 이 분야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쌓은 덕분이다. 현대차그룹은 내년까지 모든 차종을 SDV로 전환하고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를 기본 적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삼성전자가 현대차가 설계한 자율주행 칩을 생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두 그룹 협업 범위가 전고체 배터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용량이 크고 안전한 제품이다. 삼성SDI는 2027년까지 전고체 배터리 양산 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현대차도 2025년에 전고체 배터리를 적용한 전기차를 시범 생산한다.
김익환/빈난새 기자 lov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