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은 됐으나 빈집인 악성 미분양이 1만 가구를 넘어서면서 올해 들어 폐업한 건설사가 255곳(21일 기준)에 달했다. 지방에선 다 지은 아파트에 청약자가 전무한 단지까지 나오고 있다. 현장 분위기는 지난달 통계청의 월별 산업활동 동향에 나온 -4.1%(2023년 11월 기준)보다 훨씬 심각하다. “언제 망해도 이상하지 않다”는 절규까지 들린다.
건설업계의 어려움은 지난해부터 계속 불거졌다. 약 2만 개인 종합건설사 중 2347곳이 지난해 문을 닫았다. 2021년과 2022년에도 각각 1736곳, 1901곳이 폐업했을 정도로 건설업계 개별회사의 부침은 늘 있었지만 지난해 이후 눈에 띄게 나빠진 것이다. 이 바람에 가구·건자재업계까지 도미노 쇼크로 큰 고충을 겪고 있다. 업계 전체의 신용이 강등된 시멘트·레미콘 쪽도 폭풍전야다. 이사·도배업체도 “30년 만의 불황”이라며 비명이다. 지난해 문 닫은 공인중개사무소 역시 1만5000곳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후방 효과가 특별히 큰 건설산업 특성상 모두 예견된 후폭풍이다.
건설 불황에 긴장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일자리와 내수시장에 미치는 악영향 때문이다. 외국인 근로자가 많아졌다고 하지만 건설현장에는 비정규 일용직의 서민 일자리가 적지 않다. 내수 확충이 관건이라는 점에서 볼 때도 이대로 계속 내버려 둘 수는 없다. 그렇다고 재정을 동원한 직접 지원이나 옥석 구별도 하지 않은 채 무작정 금융지원을 이어가자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일단은 지난 1·10 부동산대책이 실제 효과를 내고 있는지, 보완할 점은 없는지 면밀히 잘 살피는 게 중요하다. 지방 미분양 아파트와 향후 준공하는 신축 오피스텔·빌라에만 주어지는 세제 혜택을 더 넓힐지 국토교통부는 한 번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건설 생태계가 다 무너지지 않도록 정교한 대응으로 연착륙을 유도할 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