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한국경제신문이 조사 방식, 표본 수, 응답률 등 통계 관련 기초 정보를 담고 있는 ‘통계청 통계정보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가계동향조사의 단위 무응답률은 44.9%(6월 기준)에 달했다. 전년 동월 37.7%에서 7.2%포인트 올라 처음으로 40%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가계동향조사를 위해 선정한 표본 열 명 중 네다섯 명은 자신이 얼마를 벌어 어디에 얼마나 쓰는지 공개하기를 거부했거나 성실하게 답변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가계동향조사 무응답률은 30% 안팎을 유지하다가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35%로 뛰었다. 2021년 32.0%로 소폭 낮아졌지만 이후 큰 폭의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다른 조사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인 건강 상태, 복지 수준 등을 묻는 사회조사의 무응답률은 2022년 30.4%로 30%를 넘어선 뒤 지난해 31.6%로 높아졌다. 가계금융복지조사, 경제활동인구조사 등도 무응답률이 두 자릿수로 높아졌다. 이인실 전 통계청장은 “응답에 따른 보상을 늘리고 행정 통계를 연계해 보완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