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유럽을 대표하는 자동차 제조업체 르노와 스텔란티스가 대대적인 비용 절감 의지를 밝혔다. 전기차 시장 후발주자인 이들 기업은 전기차 전환 과정에서의 마진 압박 등 실적 리스크가 올해 극에 달할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16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루카 데 메오 르노그룹 최고경영자(CEO)는 15일(현지시간) “2027년까지 가솔린·하이브리드 모델은 30%, 전기차는 40%까지 제조 비용을 줄이겠다”며 “비용 절감에 대한 강박적 태도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르노는 올해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목표치)를 약 7.5%로 제시했다. 7.9%를 기록한 작년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단계적 폐지 절차를 밟고 있는 내연차 사업 부문에서의 회계 처리분이 없었다면 6.9%까지 그쳤을 거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르노의 지난해 연간 매출은 524억유로(약 75조원)로 전년 대비 13% 늘었지만, 순이익은 시장 예상을 밑돈 22억유로(약 3조원)로 집계됐다. 그러나 배당금을 기존 주당 0.25유로에서 1.85유로로 대폭 상향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하자 주가는 작년 12월 중순 이후 최고치로 뛰었다.
데 메오 CEO는 같은 날 CNBC 방송 ‘스쿼크박스유럽’에 출연해서도 “시장 환경이 도전적이기 때문에 실적 가이던스를 보수적으로 잡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몇 달 전부터 지속돼 온 가격 인하 경쟁과 더불어 전기차 시장에서의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라며 “앞으로 매달 1개씩 10개의 새로운 모델을 출시할 계획임을 고려하면 제품의 수명주기(PLC) 측면에서 일부 낙관적인 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같은 날 스텔란티스는 지난해 하반기(7~12월) 영업이익(이자·세금·감가상각비 제외)이 102억유로(약 14조6000억원)로, 전년 동기(113억유로)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영업이익률은 12.3%에서 11.2%로 떨어졌다. 북미 시장에서의 매출 둔화와 미국자동차노조(UAW) 주도 파업의 영향이 컸다. 이 지역 영업이익률은 16.4%에서 15.4%로 대폭 하락했다. 파업 장기화에 따른 손실액은 매출 약 30억유로, 수익 약 7억5000만유로로 추정됐다.
다만 순이익이 2022년 168억유로에서 2023년 186억유로(약 26조6000억원)로 11% 증가하고, 매출이 1796억유로에서 1895억유로(약 271조6000억원)로 6% 늘어나는 등 연간 실적은 호조를 보였다. 순이익은 시장 예상(95억4000만유로)도 뛰어넘었다. 그 덕에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스텔란티스는 30억유로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배당 성향 16% 확대(주당 1.55유로) 계획도 밝혔다.
다만 나탈리 나이트 스텔란티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부터 금리와 원자재 가격이 낮아지면서 마진 개선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분명히 있지만,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격동의 해’가 도래할 것”이라며 “대부분 리스크는 우리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 있다”고 경계심을 드러냈다. 그 역시 “전기차 마진이 내연차 대비 낮은 점이 실적에 영향을 주고 있다”며 비용 절감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회사는 올해 중 미국에서만 8가지의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들 회사는 구체적인 비용 증가분 예상치를 공개하진 않았다. 나이트 CFO는 “2023년보다는 적겠지만, 상당한 규모일 것”이라고만 언급했다. 미국 ‘빅3’ 자동차 기업 중 하나인 포드는 UAW 파업에 따른 임금 인상 합의에 따라 2028년까지 차량 1대당 900달러, 총 88억유로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 추산한 바 있다. 제너럴모터스(GM)는 같은 기간 93억달러가 추가로 소요될 거란 전망을 내놨다.
영국 금융사 하그리브스랜스다운의 수잔나 스트리터 시장 총괄은 “현재 전기차 업계가 어려운 상황이란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으며, 데 메오 CEO를 비롯한 업계 주요 임원들도 이를 숨기지 않고 있다”며 “경제적 역풍 속에서 자동차 업체들은 점점 더 비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관련뉴스